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올해 세수, 감세정책 아닌 경기둔화로 감소

2023.06.07 기획재정부
목록

기획재정부는 “올해 세수는 감세정책이 아니라 경기 둔화로 인해 감소했으며, 근로소득세수만 증가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6월 5일 내일신문<수십조 세수결손에 ‘월급쟁이만 봉’>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23.6.5. 내일신문은 「수십조 세수결손에 ‘월급쟁이만 봉’」 기사에서

ㅇ “4월까지 법인세와 양도소득세, 종합소득세 등이 수십조원까지 급감”했고 이는 “경기둔화와 부동산 가격 하락, 법인세와 다주택자 세금 감세 탓”이며,

ㅇ “반면 월급쟁이로부터 원천징수하는 근로소득세만 증가”했고 “5년간 전체 세금 49% 늘어날 동안 근로소득세는 69% 급등”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기재부 입장]

□ 법인세 감소는 감세정책 때문이 아니라 작년 하반기 실적 악화 때문입니다.

① ’23.4월 누계 전년대비 법인세수는 △15.8조원 감소했으며, 세정지원 등 기저효과를 제외한 실질 세수감 규모는 △14.2조원입니다. 이는 작년 하반기 경영실적 악화에 따라 법인 영업이익이 감소한 때문입니다.

* KOSPI 상장기업 전체 영업이익(조원, Fn가이드) : (22.上) 136.9 → (‘22.下) 73.2

② 법인세율 인하 등 세제개편 사항은 올해부터 적용되어 내년 세수에 반영*되기 때문에 현재까지의 법인세 실적과 무관합니다. 

* 다만, 올해 상반기분 중간예납 시 일부 반영

□ 양도소득세 등 자산세수 감소는 부동산 등 자산시장 침체에 기인합니다.

① ’23.4월 누계 전년대비 양도소득세는 △7.2조원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22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매매거래량이 크게 감소*하고, 가격지수도 하락**하는 등 자산시장이 빠르게 둔화한 것 때문입니다.

* 순수토지매매(월평균만필지): (’21.4/4)10.7 (‘22.1/4)8.8 (2/4)9.0 (3/4)7.1 (4/4)7.5 (‘23.1/4)6.2주택매매(월평균만호):    (’21.4/4)11.9 (‘22.1/4)8.8 (2/4)9.7 (3/4)6.5 (4/4)6.2 (‘23.1/4)6.8

** 주택매매가격(’21.6=100): (‘22.1/4)104.7 (2/4)104.8 (3/4)104.4 (4/4)101.5 (‘23.1/4)97.2

② 한편, 정부는 ’22년 세제개편을 통해 그간 과도하게 징벌적 세제로 운영되어 세부담이 급증*한 부동산세제를 정상화하였습니다. 

* 주택분 종부세 과세인원은 ‘17년(33.2만명) 대비 ’22년(122.0만명) 약 4배 증가주택분 종부세 세액은 ‘17년(0.4조원)대비 ’22년(4.1조원) 10배 이상 증가

□ 근로소득세는 고소득 근로자 중심(근로소득세는 상위 10%가 대부분 부담*)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의 경우 작년 서민·중산층 세부담 완화조치로 인해 예년에 비해 매우 낮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 전체 10.5%인 총급여 8천만원 이상 근로자(210만명)가 근로소득세의 74.3% 부담(‘21년)

** ‘21년 결정세액 기준 과세표준별 전년대비 세액 증감률(%) :(전체) 19.3 (~1,200만원) △2.6 (~4,600만원) 7.4 (~8,800만원) 11.5 (8,800만원 ~) 30.5

ㅇ 근로소득세는 경제성장에 따른 취업자·임금증가 등으로 매년 조금씩 증가하는 안정적인 세목입니다.

* 상용근로자수(만명): (`17)1,343 (`19)1,422 (`21)1,489 (`22)1,587(전년비+6.6%)

* 근로소득세(조원) : (‘17)34.0 (‘18)38.0 (’19)38.5 (‘20)40.9 (’21)47.2 (‘22)57.4

ㅇ 올해도 양호한 고용흐름에 따라 전년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지난해 하위 2개 구간 과표조정, 식대 비과세 한도 상향 등 서민·중산층 세부담 완화를 위한 세법개정의 영향으로 4월까지 지난 10년 평균 증가율(11.3%) 대비 매우 낮은 증가율(0.03%)을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해서 타세목과 비교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전체 세목 중 지난 5년간 근로소득세만 급등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ㅇ 지난 5년간 법인세와 양도소득세가 근로소득세보다 더 많이 증가하였고, 부가가치세 지방이양 등으로 인한 소비세의 낮은 증가율로 전체 세수 증가율이 근로소득세보다 낮게 나타난 것입니다.

* ‘17년 대비 ’22년 세수 증가율(%) : (근로) 68.8 (양도) 113.2 (소득세 전체) 71.5 (법인) 75.0 (부가) 21.7 (전체) 49.2

ㅇ 또한, 우리나라의 소득세 비중은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는 점, 우리나라는 면세자 비중(`21년 35.2%) 또한 높은 수준이라는 점도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 총조세 대비 세원별 비중(‘21년, %): - (우리나라) 소득세 28.6 법인세 18.0 재산과세 21.1 소비과세 32.4- (OECD)    소득세 32.4 법인세 13.3 재산과세 7.6 소비과세 45.3

문의 : 기획재정부 세제실 조세분석과(044-215-412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올해 국가재정전략회의 개최일정·논의 안건 등 아직 미확정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