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설명) 내일신문(9.21), “ 법 제정시 도입된 보고제도, 고용부가 ‘왜곡’ 또 ‘왜곡’ ” 기사 관련

2020.09.22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2020.9.21.(월), 내일신문, “ 법 제정시 도입된 보고제도, 고용부가 ‘왜곡’ 또 ‘왜곡’ ” 기사 관련 설명

주요 기사내용
(전략) 산안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산재발생시 지방노동관서의 장으로부터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해 제출하도록 명령을 받은 후 이를 이행하면 보고를 한 것으로 본다’, ‘보고기한이 지난 후에 자진하여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제출하는 경우에도 보고를 한 것으로 본다’는 제73조제2조항을 신설했다. 처음부터 의무이행을 하지 않아도 되고 고용부로부터 정식으로 명령을 받고 나서야 보고해도 또는 적발되기 전이면 늦게 제출해도 아무 문제없다고 법령에 ‘대놓고’ 명시한 것이다. (중략)
(중략) 산재보상(승인)처리가 된 사업장에 대해 산업재해조사표가 제출되었는지를 비교확인하면 산업재해조사표 제출 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고용부 본부에서 지방관서에 이 확인조사를 하도록 하는 지시를 내리지 않다 보니 지방관서에는 확인조사를 거의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후략)

설명내용
□‘시행규칙 제73조제2항 신설’ 내용 관련

산업재해 현황을 파악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재해예방대책 수립 등을 위해 사업주의 산업재해발생보고 제도를 도입(’14.7월)했으나, 안전보건 관리체계 등을 갖추지 못한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제도변경 숙지에 한계가 발생
*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 선임,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지정 등 시행규칙 제73조제2항 제1호부터 제4호까지에 해당하지 않는 사업장
이에,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제도 도입(’14.7월) 이후 처음 발생한 산업재해의 미보고에 대해서는 시정명령 후 이를 이행하거나, 보고기한 이후 자진 보고하면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 조항 신설

‘산재보상(승인)자료 확인조사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 관련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요양.휴업 승인자료를 통해 지방고용노동관서에서는 산재발생 보고 대상여부 등을 파악하고 대상일 경우 보고하도록 지도*하고 있으며,
*산재발생 보고제도 활성화 내용 포함하여 업무추진지침 시달
산업재해 발생 미보고 및 은폐 사업장 적발*을 위해 건강보험자료(부당이득금 환수) 등을 활용한 조사를 지속 시행하고 있음
*과태료부과 현황: (’16년) 1,338건→(’17년) 1,315건→(’18년) 801건→(’19년) 911건
아울러, 산업재해 발생 미보고.은폐 근절을 위해 과태료 금액을 상향* 하고, 은폐 처벌조항을 신설**하여 시행(’17.10.19)하고 있음
*  (중대재해) 1,000만원 → 3,000만원, (일반재해) 1,000만원 → 1,500만원
** 1천만원 이하 벌금 또는 1년 이하의 징역


문  의:  산재예방정책과  최재훈 (044-202-7683)

“이 자료는 고용노동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38개 우수 신기술·신제품 기업이 기술 혁신에 앞장선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