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설명) 서울경제(10.5), “보험료 덜 내도 180만원, 더 내도 최고 198만원‘형평성 논란’”등 기사 관련

2020.10.05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2020.10.5.(월) 서울경제, “보험료 덜 내도 180만원, 더 내도 최고 198만원‘형평성 논란’”등 기사 관련 설명

주요 기사내용
구직급여에 상.하한 기준을 둔 것은 사회보험의 성격상 소득재분배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구직급여의 하한액이 최저임금과 연통된 탓에 소득주도 성장으로 대폭 인상돼 정규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형평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소득별 고용보험 부담.혜택 비교
- A(월 소득 190만원): 부담(보험료) 1만5,200원, 혜택(구직급여): 180만원
- B(월 소득 450만원): 부담(보험료) 3만6,000원, 혜택(구직급여): 198만원
노사정이 이처럼 ‘고용보험료를 덜 내고도 구직급여를 더 받고, 더 내면 덜 받는’ 역차별 체계를 올해 상반기 중 정리하자고 지난해 11월 합의했지만 이후 관련 논의는 올스톱된 상태다.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 제도를 개선해야 할 정부는 11개월 손을 놓고 있다.

설명내용
<1> 구직급여 상.하한액 제도취지 및 경과

실직자에 대한 구직급여 지급수준은 실직 전 3개월 간 지급받은 평균임금의 60%를 원칙으로 하되, 사회보험의 소득재분배 기능과 취약계층 보호 등을 고려하여 구직급여 상한액 및 하한액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 (’20.10월 현재) 구직급여 기초일액 상한액 66천원, 하한액 60,120원
일본, 프랑스 등 다수의 국가에서도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한편, ‘19.10월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구직급여는 평균임금의 50%에서 60%로 인상하였고, 구직급여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90%에서 80%로 조정하였음
* 구직급여 기초일액 상한액은 "고용보험법" 대통령령으로 규정
따라서, 구직급여 상.하한액 제도 운영이 사회보험 원리 등을 고려할 때 저소득자 또는 고소득자에게 지나치게 불합리한 제도라고 보기는 어려움

<2> 구직급여 상한액 제도개선 관련 논의
‘19.11월 고용보험위원회는 구직급여 상한액과 결정방식 등에 대해 제도개선TF에서 논의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20년 상반기에 논의하기로 한 바 있음

그러나, 금년 상반기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위기 대응과 예술인 고용보험 세부사항을 우선적으로 논의하였고 코로나19 사태로 대면회의 개최 등이 어려워 관련 논의가 다소 지연되었음
올해 중에 노사,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고용보험위원회와 제도개선TF를 개최하여 구직급여 상한액 등을 포함한 실업급여 제도개선에 대해서도 검토해 나갈 예정임


문  의:  고용보험기획과   박은정 (044-202-7349),  고용지원실업급여과  임경희 (044-202-7374) 

“이 자료는 고용노동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버섯, 산약초, 잣 등 임산물 불법채취 동작 그만!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