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염소산업 활성화 연구 방안 마련 학술 토론회 개최

2024.09.24 농촌진흥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 24일, 산·학·관·연 전문가, 농업인, 관련 연구자 참석

- 염소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염소 연구 중장기 전략 수립

- 염소 육종·번식·사양관리·염소 질병·사료 개발 등 농가 활성화 방안 논의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9월 24일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염소 관련 분야별 국내 전문가를 초청해 염소 산업 활성화 연구 중장기 전략 수립을 위한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 토론회는 국내 염소 관련 분야 산·학·연 간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강화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야별 전문가들과의 공유·협업을 통해 공동 연구 방안을 마련하고자 마련했다. 1부에서는 국내 염소 산업 활성화 연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국내외 전문가 초청 강연이 있었다. 

 주제 발표는 △염소 농가 활성화 및 문제점(전북대 김상우 교수) △염소 질병관련 연구(전북대 조호성 교수) △염소 농가 우수사례 (전북흑염소협회 지용국 회장) △염소개량의 시작과 혈통관리 방안(한국종축개량협회, 김정일 부장) △염소 영양·사양관리 연구(건국대, 문상호 교수) △염소 고기 소비활성화 방안(강원대 장애라 교수) △염소 산업 현황과 사료개발 필요성(농협사료 안준상 팀장) △염소 육종·번식 연구(국립축산과학원 김관우 박사)를 내용으로 진행됐다. 이어 종합토의 시간에는 분야별 전문가, 농가 및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염소 연구 관련 현안의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뉴질랜드에서 3세대 혈통이 확인된 보어종 염소를 도입해 자체 보존 중인 재래 흑염소(당진, 장수, 통영계통)를 활용해 새로운 품종을 개발, 농가 보급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내외부 전문가들로‘염소연구협의체’를 결성하고 염소 산업 활성화 중장기 연구개발계획을 수립하기도 했다.

 한편, 염소 고기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염소 산업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보고에 따르면, 염소 생산액은 2018년 595억 원에서 2021년 1,775억 원으로 3배 증가했다. 사육두수는 2015년 28만 두에서 2021년 44만 두로 2배 증가했다. 사육 가구 수는 2021년 기준 10,982호로 한우에 이어 두 번째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임기순 원장은 “다른 축종과 달리 염소는 국가 단위 개량 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생산성 저하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라며 “국립축산과학원을 중심으로 산·학·연 간 지속적인 협력과 정보 공유가 이뤄져 염소 산업이 활기를 띨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교제폭력과 이미지합성기술(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강화를 위해, 전국 여성·청소년 범죄 수사 책임자 한자리에 모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