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전통놀이 경험 많을수록 사회적응성 높아”

농촌 다문화·비다문화가족 학생 대상 사회적응성 관계 조사

2014.08.18 농촌진흥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다양한 전통놀이를 경험한 농촌 지역의 학생일수록 사회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은 전국의 농촌 지역 학생 등을 대상으로 전통놀이 경험 정도와 사회적응성 관계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전국 55개 농촌 지역 다문화, 비다문화 가족의 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 751명과 담임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서면 설문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해 추석 연휴 열린 ‘전통 민속놀이 체험전’에서 다문화 가족 등 시민들이 다양한 종류의 민속 놀이를 즐기고 있다.(사진=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재배포금지)    
지난해 추석 연휴 열린 ‘전통 민속놀이 체험전’에서 다문화 가족 등 시민들이 다양한 종류의 민속 놀이를 즐기고 있다.(사진=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재배포금지)    

주요 조사 결과를 보면 두꺼비집짓기와 제기차기, 팽이놀이, 가마타기, 연날리기, 자치기, 숨바꼭질, 꼬리잡기, 땅따먹기, 공기놀이 등 10가지 유형의 전통놀이 가운데 비다문화 가족 학생들은 평균 6.71개의 전통놀이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족 학생들은 평균 5.98개의 전통놀이 경험을 한 것으로 조사돼 비다문화 가족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경험 정도가 낮았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전통놀이로는 숨바꼭질, 공기놀이, 제기차기, 꼬리잡기, 연날리기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사회적응성 수준 조사에서 비다문화 가족 학생들은 평균 98.64(백분위 82.2점), 다문화 가족 학생들은 평균 95.22(백분위 79.4점)를 보여 다문화 가족 학생들의 사회적응성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전통놀이 경험이 많은 학생들은 사회적응성 정도가 높게 나왔다. 또, 학업 성적이 양호할수록, 인터넷게임 시간이 짧을수록, 다문화 활동 참여 빈도가 많을수록 사회적응성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 지역 학생들이 앞으로 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동물 돌보기가 가장 많았으며, 체육·인터넷·공작·놀이 활동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교사 중 50.3%는 다문화와 비다문화 가족 학생 간의 학습 능력과 적응력, 인성 등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89%의 교사가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공동체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돼야 한다고 답했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양순미 연구사는 “농촌 지역 학생들의 사회적응성 향상을 위해 전통놀이를 토대로 한 또래 관계를 만들 기회가 제공돼야 한다”며 “앞으로 폭넓게 전통놀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자료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의 :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063-238-2646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을지연습 18~21일 전국적으로 실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