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한미, 위험인자 규명 등 치매연구 협력 강화한다

과기부-치매 연구개발 사업단 간담회…이르면 하반기 공동연구 착수

2021.05.2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목록

정부는 지난 22일 한미정상회담의 공동선언문 이행을 위해 바이오 분야의 한·미 협력을 위한 후속 조치에 본격 착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용홍택 제1차관이 ‘치매 극복 연구개발 사업단’을 방문해 효율적인 한미 간 공동연구 방안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현판.

정부는 치매 환자 증가율 50% 감소와 치매 극복 기술 글로벌 시장 점유율 5% 달성을 목표로 ‘치매 극복 연구개발 사업’(이하 치매사업)에 지난해부터 9년간 총 1987억 원(국비 1694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부터 치매사업단을 발족해 24개 연구개발 과제를 시작으로 치매의 예방, 진단, 치료 등 치매 극복을 위한 종합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치매사업단이 발족한지 8개월 만에 알츠하이머성 치매 원인 단백질의 연결고리를 밝히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인 ‘Progress in Neurobiology(IF 10.64)’에 발표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치매연구에 있어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치매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선도국과 연구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으며,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과의 치매 협력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치매사업단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IA)와 치매 빅데이터 기반의 정밀의료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미국 우성유전 알츠하이머 네크워크(DIAN)에도 참여하기로 했다.

현재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서는 치매사업단과 NIA, DIAN 간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하반기부터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

협력연구를 통해서 NIA가 보유한 다양한 치매환자의 데이터를 국내 연구자가 활용해 치매 위험인자 규명, 보호인자 발굴, 바이오 마커 진단기술 개발 등의 연구성과를 높이고 국제 치매연구 네트워크에 기여할 수 있는 치매연구 선도국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간담회에서 치매사업 단장인 묵인희 서울대 교수는 “치매는 모든 인류가 공통으로 겪는 문제인 만큼 국제적 협력을 통해 대응할 필요가 있는데 이번 미국과 협력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치매 연구 역량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번 협력 과제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새로운 주제를 발굴해 미국과의 협력연구를 강화해 주기를 부탁한다”면서 “과기정통부도 치매 극복을 위한 미국과의 공동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 044-202-4561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공유주거 원룸에 침실 3개까지 설치하도록 규제완화 추진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