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1년 디지털헬스케어산업 실태조사 발표

2023.03.31 산업통상자원부
목록

‘21년 디지털헬스케어산업 실태조사 발표

- ‘21년 디지털헬스케어산업, 전년 대비 34.6% 성장한 1.8조원 규모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회장 형욱, 이하 협회)와 디지털헬스케어산업의 매출, 인력 및 고용, 투자, · 등을 포함한 ‘2021년 국내 디지털헬스케어산업 실태조사결과를 표했다.

 

디지털헬스케어란 통상 ICT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질병을 진단·치료하고 건강의 유지·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활동과 수단을 의미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의 8.9%(의약품 64.4%, 의료기기 20.2%) 규모이다.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은 질병의 사후적 진단·치료에서 선제적 예방·관리로 의료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최근 6년간(’14~‘20) 연평균 39% 성장하였으며, 향후(’20~‘27)에도 연평균 18.8%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동 조사는 국내·외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산업동향 파악 필요성에 따라 산업부와 협회가 공동으로 ’21(’20년 기준)부터 시작해 이번이 두 번째 실태조사이다.

 

우선, 협회는 이번 실태조사를 위해 3가지 분류기준(서비스 제공 목적, 수단, 방식)을 바탕으로 기존의 다양한 디지털헬스케어 분류체계를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확한 분류체계 마련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분류체계를 포괄할 수 있는 이번 분류체계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2021년 디지털헬스케어산업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상세 내용은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www.kodhia.or.kr)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매출) ‘21년 기준 18,227억원으로 전년 대비 34.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용기기 매출이 9,731억원(53.4%)으로 가장 높으며, 건강관리 기기(2,546억원), 디지털 건강관리 플랫폼(2,250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21년 디지털헬스케어산업 매출 주요 품목> (단위: 억원)

구분

매출

비중

· 의료용 기기

* SiMD(Software in Medical Device), 전자약 등

9,731

53.4%

· 건강관리 기기

* 웨어러블 기기, 생체데이터 수집 센서 등

2,546

13.9%

· 디지털 건강관리 플랫폼

* 마켓플레이스형, 웰니스플랫폼 등

2,250

12.3%


 

(인력 및 고용) 전체 종사자 수는 13,033명으로 전년 대비 10.7% 가하였고, 종사자 30인 미만 중소기업이 대부분(72%)을 차지하였다. 매출 10억원당 종사자 수는 7.15명으로 지난해 8.7명보다 다소 줄었으나 이는 빠른 매출 성장세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전체 산업평균(5.73)보다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투자)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기업 투자액은 총 4,951억원으로 전년(2,967억원) 대비 약 66.8% 증가하였다. 시설투자비 및 교육훈련비가 년비 281% 증가한 1,448억원으로 파악되었으며, 연구개발비(R&D) 또한 전년비 35.4% 증가한 3,502억원으로 조사되었다.

 

<자체투자 추이> (단위: 억원)

구분

2020

2021

YoY

· 연구개발비

2,587

3,502

35.4%

· 시설투자비 및 교육훈련투자비

380

1,448

281.0%

· 합계

2,967

4,951

66.8%


 

(투자유치) 국내·외 총 투자유치액은 16,931억원을 기록하였다. 료용기기 투자유치액이 가장 많은 6,210억원으로 전체의 36.7% 규모로 파악되었으며, 의료인·환자간 매칭 플랫폼(21.7%), 의료용 소프트웨어(19.3%) 등이 뒤를 이었다.

 

 

 

<’21년 디지털헬스케어산업 투자유치 주요 품목> (단위: 억원)

구분

총 투자유치액

비중

· 의료용 기기

* SiMD(Software in Medical Device), 전자약 등

6,210

36.7%

· 의료인간, 환자간 매칭 플랫폼

* 원격의료, O2O 플랫폼, 메타버스 등

3,680

21.7%

· 의료용 소프트웨어

* 디지털치료제, SaME(Software as a Medical Device)

3,271

19.3%

· 디지털의료 및 건강관리 지원 시스템/인프라

* EMR, EHR, PHR, 병원운영시스템, 마이헬스웨이 등

1,802

10.6%


 

(수출 및 수입) 수출액은 7,992억원으로 전년(7,582억원)대비 5.4% 가했으며, 수입액은 721억원으로 전년(587억원)대비 22.7% 증가하였다. 의료용 기기가 수출, 수입 모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수출에서는 의료용 소프트웨어(전년비 69.1%), 수입에서는 디지털 건강관리 플랫폼(전년비 142.3%)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디지털헬스케어산업 수출입 변화 추이(‘20~’21)> (단위: 백만원)

구분

수출

수입

2020

2021

YoY

2020

2021

YoY

· 의료용 기기

* SiMD(Software in Medical Device), 전자약 등

653,122

682,280

4.5%

52,556

65,959

25.5%

· 디지털 건강관리 플랫폼

* 마켓플레이스형, 웰니스플랫폼 등

8,530

9,065

6.3%

520

1,260

142.3%

· 의료용 소프트웨어

* 디지털치료제, SaME

6,199

10,482

69.1%

520

600

15.4%

· 건강관리 기기

* 웨어러블 기기, 생체데이터 수집 센서 등

81,162

88,240

8.7%

5,110

4,240

-17.0%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민과 소통하여 정책을 개선하는 「전기안전 국민공모전」 실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