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언론에서 보도한 내용은 2019년 11월 발표한 통계를 근거로 작성했으므로 2019년, 2020년 통계는 전망치”라며 “또한 구조적 재정수지 산출을 위해 잠재GDP, 일회성 지출 등 다양한 지표에 대한 가정이 전제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6월 7일 매일경제 <한국 구조적 재정수지 0.9% 흑자...악화속도는 OECD 2위>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 6. 7.(일) 매일경제, MBN, 이투데이 등은 「한국 구조적 재정수지 0.9% 흑자... 악화속도는 OECD 2위」제하 기사에서
ㅇ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년 구조적 재정수지(경기상황에 따른 변화 제거)가 국내총생산 대비 0.86% 흑자로 OECD 국가 중 양호한 수준이나”
ㅇ “‘19년 대비 하락폭이 우리나라(△1.28%p)보다 큰 국가는 그리스(△2.21%p) 뿐으로 재정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도
[기재부 입장]
□ 재정수지는 기본지표인 통합재정수지와 보조지표인 기초재정수지, 경기조정수지, 구조적 재정수지 등으로 구분(표 참조)
ㅇ OECD는 매년 자체 계산을 통해 통합재정수지 뿐만 아니라 보조지표로서 통합재정수지 이외 수지(구조적 재정수지 등)를 발표하고 있으나 국제비교 기준*이 되는 것은 통합재정수지
* 국제비교시 활용되는 재정수지는 일반정부(중앙+지방+비영리공공기관) 기준
□ 금번 언론에서 보도한 내용은 ‘19.11월 발표한 통계*를 근거로 작성하였으므로, ’19, ‘20년 통계는 전망치
* ’18년까지는 실적치, ‘19년 이후는 전망치
ㅇ 또한 구조적 재정수지 산출을 위해 잠재GDP, 일회성 지출 등 다양한 지표에 대한 가정이 전제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필요

문의 : 기획재정부 재정혁신국 재정건전성과(044-215-5742)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한걸음 모델, 이해관계 조정에 시간 소요 사실 아니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