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은 온라인 세계에 몹시 집중했다. 코로나19로 개학이 연기되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부터다. 스마트폰을 향한 몰입도는 더욱 상승했다. 걱정이 시작된 것은 그 이름도 낯선 ‘n번방’ 사건이 터지면서다. 가해자들의 타깃이 모두 온라인 속 여학생들이었기 때문이다.
수법은 다채로웠다. 블로그에 패션이나 뷰티 포스팅을 올렸더니 10대 모델 섭외 쪽지를 보내거나 모델 아르바이트 등을 미끼로 금전적인 사례를 제안했다. 어린 학생들은 단순히 채용 절차쯤으로 여기며 신상정보를 넘겼다가 피해자가 됐다. 셀카를 찍어 올리기 좋아하는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었다.
![]() |
아동·청소년이 알아야 할 디지털 성범죄 예방 안전수칙.(출처=여성가족부) |
뿐만 아니다. 게임을 하던 중 ‘버스를 태워주겠다’(게임을 잘하는 사람이 동참하자는 의미로 사용하는 말)는 말을 들었던 학생은 상대와 함께 게임을 했고, 채팅을 주고받기 시작했다. 이후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이어가며 9개월간 교제했다. 가해자의 꾐에 넘어간 학생들은 그 후 충격적인 경험을 오롯이 혼자 견뎌냈다.
디지털 속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모든 방법이 동원됐다. 호기심에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 들어간 중3 여학생에게는 공부와 진로에 대한 상담을 해주겠다며 접근했다. 고등학교 진학을 앞두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이용, 공부를 도와주며 신뢰를 쌓아 연락을 지속하면서 비밀과 고민을 알아냈고, 이걸 빌미 삼아 구체적이고 노골적으로 유사 성행위 영상과 나체 사진을 요구했다.
사건의 심각성을 인식한 정부가 아동·청소년과 보호자가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7가지 안전수칙’을 발표하며 디지털 성범죄 예방에 힘을 싣기 시작했다. ▲ 나와 타인에 대한 개인정보를 올리거나 전송하지 않기 ▲ 잘 모르는 사람이 보낸 인티넷 링크나 파일을 클릭하지 않기 ▲ 타인의 동의 없이 사진·영상을 찍거나 보내지 않기 ▲ 타인의 사진, 영상에 성적 이미지를 합성하지 않기 ▲ 타인의 사진, 영상을 퍼뜨리겠다고 위협하지 않기 ▲ 잘 모르는 사람이 개인정보를 묻거나 만남을 요구하면 어른에게 알리기 ▲ 전문기관에 도움 요청하기 등이다.
이번 수칙은 최근 텔레그램 n번방 사건을 계기로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피해가 발생했을 때 대응 방법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아동·청소년은 온라인상에서 자신의 행위가 가해자에게 빌미로 제공될 수 있음을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 |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해 보호자가 알아야 하는 예방수칙.(출처=여성가족부) |
이 안전수칙에는 특히 자신의 자녀가 디지털 성범죄에 쉽게 노출될 수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는 보호자들을 위해 ‘보호자용 안전수칙’도 안내하고 있어 시선이 갔다. ▲ 아동·청소년의 온라인 활동에 관심을 갖고 충분히 대화하기 ▲ 개인정보를 온라인에 올리거나 타인에게 전송하지 않도록 알려주기 ▲ 불법촬영, 비동의 유포, 성적 이미지 합성 등 디지털 성범죄 위험성 알려주기 ▲ 잘 모르는 사람이 개인정보를 묻거나 만남을 요구하면 반드시 알릴 것을 당부하기 ▲ 피해 사실을 알았을 때 아동·청소년의 잘못이 아님을 알려주기 ▲ 아동 청소년의 피해 사실 관련 증거자료를 수집하기 ▲ 피해 사실을 알았을 때 전문기관에 도움을 요청하기 등이다.
무조건 조심해야 한다는 말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돼 효과적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자녀가 협박을 받는 상황일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대처법을 알아봤다. 메시지로 협박을 받을 경우에는 캡처를 하고, 전화로 협박을 할 때는 전화를 녹음하자. 당사자 간의 녹음은 불법이 아니라서 증거로 남길 수 있다. 증거를 최대한 수집해서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고소할 수 있다. 가해자의 신상정보를 모른다면 아이디나 이메일 주소, 핸드폰 번호와 같은 정보로도 수사가 가능하니 최대한 정보를 모아서 신고하자.
![]() |
불법촬영·유포·협박 등에 상담 및 신고를 할 수 있는 연락처.(출처=여성가족부) |
온라인상에 자신의 사진이 올라갔을 시에는 SNS, 웹하드 고객센터에 삭제 요청을 할 수 있다. 불법사이트에 올라갔다면 방송통신심위위원회에 신고를 하면 된다. 또한 검찰은 피해자들의 잊힐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바꿀 수 있도록 돕고 단일한 국선변호인을 선정해 효율적이고 다각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처음부터 노출 사진을 업로드하는 그런 짓을 왜 했느냐고 혼날 것 같았다’거나 ‘부모나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질까 봐’ 혹은 ‘처음부터 알바를 하려고 한 내가 잘못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는 이야기는 대다수 피해자에게 공통적으로 나온 말이었다.
전문가에 따르면 이 때 부모가 아이를 지지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내 편이 돼줄 수 있는 어른이 있다는 믿음이 들어야 사실을 털어놓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부모들은 나쁜 생각을 가지고 청소년을 착취하는 사람들의 문제이지, 피해자의 잘못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어야 한다.
![]() |
온라인 세상에 익숙한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성범죄.(출처=픽사베이) |
또한 낯선 사람이 과도한 보상을 제시할 때는 우선 주변 어른과 상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중요하다. 가정에서 함께 이런 일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혹시라도 이와 유사한 사건이 발생할 것 같으면 누구보다 먼저 부모에게 털어놓아야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해주는 시간을 가질 필요도 있다. 아울러 우리 아이가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 아이가 가해자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아동돌봄쿠폰 40만원 지급받아 사용해보니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