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식품안전의 날, 스마트해진 해썹(HACCP)을 만나다

2024.05.14 정책기자단 김윤경
목록

얼마 전 재밌는 뉴스를 접했다. 독일인들이 우리나라 삼계탕을 먹게 된단다. 지난해 EU(유럽연합)에 열처리 가금육 수출이 허용돼, 며칠 전 첫 수출 기념행사를 가진 걸 들었다. 

맥주의 나라 독일에서 닭을 먹는다! 이거 꽤 어울리는 이야기 아닌가. 그렇지만 이 수출이 허용되기까지 근 30여 년이 걸렸다. 향후 EU 회원국으로 닭고기 수출이 확대되면, 수출액은 두 배 이상 증가하게 된다. K-푸드의 강한 힘을 새삼 실감한다. 또 그럴수록 중요한 건, 식품안전 아닐까. 

5월 14일은 식품안전의 날이다. 또 7일부터 21일은 식품안전주간이다. 식약처에서는 이를 기념해 행사를 열고 있다. 

식품의 날 행사가 열리고 있는 서울광장.
식품의 날 행사가 열리고 있는 서울광장.
소비기한이 적힌 시판 제품들.
소비기한이 적힌 시판 제품들.

내가 요즘 식품안전에 더 관심이 생긴 건, 두 가지 때문이다. 지난달, 갑자기 둘째 아이가 복통으로 응급실에 갔었다. 물론 음식이 이유는 아니었지만, 이후 식품안전에 더 신경을 쓰게 됐다. 다른 하나는 큰아이가 요리를 자주 하게 됐기 때문이다. 아이는 늘 본토 맛을 제대로 내야 한다며 각국 소스와 재료를 구해왔다. 내 나름 여러 음식을 먹고 만들어봤지만, 외국에서 수입한 잘 모르는 재료의 향과 맛으로 신선도를 판별하기는 어려웠다. 겨우 보관 방법이나 소비기한을 확인하는 정도에 그쳤지만, 가끔은 이래도 괜찮나 싶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표시가 된 제품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표시가 된 제품들.

그래서 서울광장에서 열린 행사장(5월 13~14일)을 찾았다. 제23회 식품안전의 날 행사는 신기술 적용 식품관, 안심패밀리관, 디지털 식품안전홍보관, 국민안심 정책홍보관으로 나뉘어 있었다. 이번 행사에서 내가 더 관심을 둔 건, 스마트 해썹(HACCP)과 해외 수입식품의 안전이었다. 

행사는 식생활과 식품안전 등에 관한 다양한 체험과 퀴즈를 진행해 열기를 더했다. 더운 날씨에도 사람들은 줄을 이었다. 나 역시 강렬한 태양 아래 피부가 익어 갔지만, 흥미로워 자리를 뜰 수 없었다.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

“나트륨은 짠 음식에만 들어 있을까요?”
“내가 경력 몇년 차인데, 잘 알지. X(아니다)!”
“네, 정답입니다! 나트륨은 면, 빵 등에도 들어가 있는데 짜지는 않아도 함량이 높죠.”

한 여성이 자신있게 외쳤다. 이벤트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앞사람 문제도 어깨너머로 함께 맞추고 있었다. 구경하던 나도 자연스레 나트륨에 관해 알게 됐다. 

쇳가루 공정 자동화 센서.  자동으로 세척및 기록을 해줘 왼쪽 화면에 표시된다.
쇳가루 공정 자동화 센서.

스마트 해썹(HACCP)

“예전에는 기록일지 데이터를 손으로 작성했잖아요. 스마트 해썹(HACCP)은 자동으로 기록하고 중요 관리점, 주요 공정의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관리 분석을 하는 실시간 종합 관리시스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스마트 해썹 부스를 찾았다. 쇳가루 공정 자동화 센서가 보였다. 이 센서는 고춧가루에서 쇳가루를 제거해주는 기기에 부착돼 있다. 담당자가 기기를 작동하자 자석이 붙은 부품이 돌아가며 쇳가루를 골라냈다. 담당자는 스마트 해썹을 이용하면 자력 측정은 물론 자석봉 청소가 자동으로 돼 위생에도 좋고 위험한 청소도 안전하게 할 수 있다고 했다.   

스마트 포충센서, 센서에서 기록된 값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된다.
스마트 포충센서. 센서에서 기록된 값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된다.

스마트 포충센서도 효율적으로 보였다. 포충 수를 실시간으로 카운팅해주는 센서다. 담당자는 일일이 사람 손으로 포충 수를 확인하고 기록하는 게 아니라 바로 상태를 알려줘 실시간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 특히 떡가루, 견과류 공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고 했다. 

잔류염소측정센서. 세척과정을 거친 물의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잔류염소 측정센서. 세척 과정을 거친 물의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잔류염소 측정센서는 식품을 세척한 뒤 염소 잔류량을 자동 관리 및 기록해준다. 이전에는 육안으로 판별하고 수기로 기록했지만, 휴대용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위변조가 없이 정확하다. 

시판 및 제품 자동판별 센서. 금속검출공정에서 자동 판별하도록 한다.
시판 및 제품 자동판별 센서. 금속검출 공정에서 자동 판별하도록 한다.

처음에는 스마트 해썹이 단지 생산자에게 필요한 게 아닌가 싶었다. 그렇지만 결국 소비자를 위한 일 아닐까. 스마트 해썹의 정확한 위생 관리와 신속한 모니터링은 식품안전과 품질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  

‘수입식품정보마루’ 및 해외직구 식품 ‘올바로’

대한민국이 세번 체크한 수입식품. 수입전, 통관,  유통.
대한민국이 세 번 체크한 수입식품. 수입 전, 통관, 유통.
수입수산물 안전관리 부스에서 열린 참치 해체쇼를 한 시민이 보고 있다.
수입수산물 안전관리 부스에서 열린 참치 해체쇼를 한 시민이 보고 있다.

행사장에는 ‘수입식품정보마루’, 해외직구 식품 ‘올바로’에 관한 부스도 있었다. ‘수입식품정보마루’는 국민이 안심하고 수입식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수입식품 조회 및 부적합 등 수입식품 안전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해외직구식품 ‘올바로’에서는 직구하려는 제품이 위해 제품이 아닌지를 알 수 있다. 식약처는 올해 해외직구 식품에 대한 구매 검사 확대 및 수입 유통식품 방사능 검사장비를 보강했다. 2020년도 1630건이었던 구매 검사 건수는 2024년 3400건으로 확대됐다. 

한 시민이 푸드 QR을 체험해보고 있다.
한 시민이 푸드 QR을 체험해보고 있다.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열린 행사는 일상생활 속 식품에 관련한 정책을 쉽게 알려줘 매우 유익했다. 더욱이 이벤트와 체험이 많아 즐거웠다. 난 무려 2시간 반 동안 식품안전에 관해 둘러봤다. 생각보다 많은 식품 관련 제도와 정보가 있어 놀랐고 4차 산업 기술과 결합해 편리해져 반가웠다.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로 식품이력을 조회해볼 수 있다.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로 식품 이력을 조회해볼 수 있다.

점점 더 날씨가 더워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식품에 대해 더 큰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에 신경써야 한다. 다행스럽다면 이를 확인하는 제도가 생각보다 많다는 점이다. 담당자는 물론 소비자, 생산자 모두 제도를 잘 활용해 일상 속 식품안전과 건강에 만전을 기하면 좋겠다. 더해 세계에서 식품안전하면 K-푸드부터 떠올렸으면 좋겠다.   

수입식품 정보마루 : https://impfood.mfds.go.kr/
해외직구식품 올바로 :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fooddanger/foodDirectImportView.do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윤경 otterkim@gmail.com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청년 지원 관련 법·제도 개선 현장 간담회에 가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