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2024.03.22 문화체육관광부
목록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 공연 산업 좀 먹는 ‘암표’와의 전쟁

“이미 선택된 좌석입니다.”

티켓예매 시작 시간에 맞춰 접속한 공연예매 사이트.
원하는 좌석을 잽싸게 클릭해보지만 야속하게 뜨는 ‘이선좌’ 알림창에 당황과 좌절을 맛보셨던 경험, 한 번씩은 있을 겁니다.

도대체 이 치열한 예매 전쟁에서 성공하는건 어떤 사람들일까?

인기 공연의 예매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사람들, 바로 ‘암표’ 거래상입니다.
이들은 반복적인 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게 하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해 티켓을 대량으로 예매하고 웃돈을 얹어 되파는 수법으로 이익을 챙깁니다. 아티스트를 좋아하는 순수한 ‘팬심’을 악용하는 거죠.

암표 거래로 피해가 늘어나면서 암표 근절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 거세졌습니다. 아이유, 성시경, 임영웅 등 아티스트들이 직접 암표 거래에 단호한 입장을 내보이기도 했습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공연법」 일부 개정을 거쳐 암표 뿌리 뽑기에 나섭니다.

3월 22일(금)부터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공연 입장권을 구매하고, 부정 판매하는 이들에게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스포츠 경기 입장권도 「국민체육진흥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동일한 처벌 근거가 마련됐습니다.

법률 시행에 맞춰, 공연·프로 스포츠 암표 통합 신고 누리집도 문을 열었는데요. 공연 성수기에는 신고자에게 문화상품권 등을 제공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과와의 협조 체계를 강화해 암표 판매행위를 단속하고 위반행위를 집중 수사할 계획입니다.

문화·체육 분야 시장질서의 근간을 위협하는 ‘암표’를 근절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행복한 공연문화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암표 거래는 엄연한 불법!
암표 거래가 의심되면 통합 신고 누리집에 신고해 주세요!

이전다음기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