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돌봄 필요한 어르신 대부분 보호…서비스 지속 확대

2018.02.22 보건복지부
목록

정부는 홀로 계신 어르신에게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제공, 돌봄이 필요한 취약 어르신 대부분(90%)을 보호하고 있으며 돌봄기본 등 돌봄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안전확인 외에도 생활교육, 서비스 연계, 후원 전달 등 홀로 계신 어르신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서울경제가 보도한 <고독사 늘어나는데...방치되는 독거노인>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기사는 이날 정부의 돌봄서비스를 받는 어르신은 올해 돌봄기본서비스 24만명, 응급안전알림서비스 8만 8000명 등으로 좀처럼 늘지 못하고 있으며 무연고 사망자는 2013년 464건에서 2017년 835명으로 증가일로에 있다고 보도했다.

또 돌봄기본서비스는 안전확인에 급급해 실질적 돌봄서비스로 부족한 실정이며 독거노인 사랑잇기나 노노케어(老老CARE) 사업 등의 범위와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소득, 건강, 사회적 관계 등이 취약한 홀로 계신 어르신들을 위해 돌봄기본서비스,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외에도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복지부가 제공하고 있는 돌봄서비스는 가사 및 일상생활을 돕는 돌봄종합서비스와 단기가사서비스, 어르신이 어르신을 찾아 안부확인 및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노노케어 사업, 사회적으로 고립된 어르신을 찾아가 사회관계 회복을 지원하는 독거노인사회관계활성화 사업, 민간과 협력해 어르신의 안전을 보살피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품 등을 후원해드리는 독거노인사랑잇기 사업 등이 있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올해 홀로 계신 어르신 중 공식적인 돌봄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는 어르신 64만 1000명 중 57만 7000명(90.0%)에 대해 공적 돌봄서비스와 민간 협력을 통해 돌봄을 제공했으며 향후 돌봄기본 등 홀로 계신 어르신에 대한 돌봄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또 돌봄기본서비스는 홀로 계신 어르신에 대한 안전확인 외에도 정기적인 생활교육, 지역과 민간의 보건·복지서비스 및 자원을 연계해드리는 등 어르신의 안전확인 외에 일상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민간 기업·단체와 협력하고 민간 자원봉사자 등을 통해 홀로 계신 어르신에게 안부확인과 돌봄, 후원 등을 제공하는 독거노인사랑잇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의: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044-202-346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초등 저학년 수업종료 일원화 협의 안해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