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친환경차 보급 효과, 대중화·전력원 확대에 따라 극대화

2019.09.18 환경부
목록

환경부는 “미세먼지 제거 및 인체 위해성 최소화를 위해 친환경차(전기차, 수소차) 보급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친환경차 보급효과는 친환경차 대중화 및 친환경 전력원 확대에 따라 극대화된다”고 밝혔습니다.

9월 18일 조선일보 <미세먼지 1t 줄이는데 들어간 예산 친환경車는 50억, CNG버스 7,400만원>, 서울신문 <친환경차에 예산 절반 쏟아부어 미세먼지 저감 대책 실효성 논란>, 한겨레 <“미세먼지 1톤 감축에 재정 50억 들여…효율성 낮아”> 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친환경차 보급 지원사업의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낮고, 시장이 확대될수록 재정에 부담이 되는 등 사업의 지속가능성에 한계
  ※ 1t의 미세먼지를 감축하는데 친환경차(전기차, 수소차) 보급 지원사업은 50억원이 소요되나, CNG 차량 교체사업은 7,400만원 소요

[환경부 설명]

전기차는 천연가스 또는 재생에너지 발전 전력을 사용할 경우, 그리고 수소차는 재생에너지를 통해 수소를 생산할 경우 미세먼지 감축 효과가 극대화됨

또한, 친환경차는 인체 위해성이 매우 높은 자동차 배출가스를 저감 시키므로 건강피해 예방 효과가 뛰어남

아파트 주변도로, 지하주차장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곳에서 발생하는 차량 배출가스는 발전소 등 원거리 오염원 대비 인체위해도*가 매우 높음
 * 미국 캘리포니아(SCAQMD)의 대기독성노출연구결과, 디젤 PM의 미세먼지 농도 기여도는 약 15%이나 발암위해성은 약 84%임(’12.6월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 1군 발암물질 지정)

국제적으로도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감축을 위해 내연기관차 퇴출*을 선언하는 등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총력지원 중
 * 노르웨이(2025), 네덜란드(2030), 프랑스(2040), 영국(2040) 등

아울러, 친환경차 지원사업은 보급 확대를 위한 마중물 성격의 사업으로서, 초기에는 고가의 차량가격 등으로 비용이 다소 과다할 수 있으나, 

생산규모가 늘어나 경쟁력 있는 가격이 형성되면, 재정지원 없이도 지속적으로 보급확대 가능

향후, 환경부는 친환경차 보급확대를 위해 비재정수단(보급복표제 등)을 활용하여 재정부담을 경감시켜 나갈 계획임
 ※보조금은 단계적으로 축소(내연기관차와 유사한 가격이 형성될 때까지 유지)

참고로, 미세먼지 기여율이 높은 발전·산업부문의 경우 재정지원 정책보다는 규제 및 관리정책을 중심으로 배출량을 관리하고 있음
 ※부문별 초미세먼지(PM2.5) 기여율(‘16년 기준) : 발전 13%, 산업 40%, 수송 29%, 생활 18%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장 등은 원인자부담 원칙에 의해 직접 지원보다는 배출허용기준 강화, 사업장 지도·점검 강화, 배출부과금 부과 등을 통해 관리하고 있음

문의: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 044-201-688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정년연장,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아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