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돼지열병 발생 즉시 지침 따라 필요한 방역조치 시행

2019.10.16 환경부
목록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상황별 행동지침에 따라 필요한 방역조치를 즉각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 5월 북한의 ASF 발생 확인부터 접경지역을 통한 유입 등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10월 15일 매일경제 <4주간 헛다리 짚다 골든타임 놓친 돼지열병 방역>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정부가 접경지역 내 총기 포획을 허용한다는 긴급대책을 내놨지만 뒷북 대책에 불과하며 멧돼지 감염보다는 불법 축산물을 통한 전파를 막는데 집중하면서 조기 차단 기회를 놓쳤고, 감염 멧돼지 사체에 접촉한 다른 야생동물들이 바이러스를 확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간과한 것

[ASF 중앙사고수습본부 설명]

정부는 국내에서 최초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관련 지침과 전문가 의견 등에 따라 필요한 방역조치를 즉각적으로 시행하는 등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금년 5월 북한 내 ASF 발생을 확인한 후 정부는 접경지역을 통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 등 모든 전파 가능성에 대비하고자

접경지역 14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농가 방목사육 금지, 울타리 설치와 멧돼지 기피제 배포 등을 조치하였고,

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된 곳 인근에는 포획틀과 포획트랩을 집중적으로 설치하여 예찰 활동을 선제적으로 강화한 바 있음

특히, 지난 5월 북한 ASF 발생 이후 전국적으로 총기포획을 강화*하였으나, 9.16일 돼지농장에서 ASF 발생 이후 양돈농가 발생지역 등에서는 멧돼지의 이동 등을 최소화하고, 그 외의 지역에 대해서만 총기포획을 강화하는 원칙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고 있음
 * 5월 접경지역, 6월 전국 양돈농가 주변지역 총기 포획 허용
 ※ 월평균 포획 실적이 포획 강화 조치 이전 대비 전국 2배, 접경지역 2.8배 증가   (전국 월 4,042마리 → 7,753마리, 접경지역 월 145마리 → 400마리)
 
아울러 10.2일 DMZ 내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최초로 검출됨에 따라 정부는 국내 야생멧돼지 예찰과 방역관리를 대폭 강화하였음

환경부는 예찰인력을 30명 수준에서 90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예찰지역을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4개 시·군에서 접경지 14개 시·군으로 확대하여 추진하고 있는 중

또한 국방부에서도 DMZ, 민통선 내 지역에 대한 예찰 강화를 위해 집중 수색·정찰을 실시 중이며, 접경지역과 주변 하천 등에 대한 소독 등을 철저히 실시해 전파 차단에 총력을 다하고 있음

정부는 멧돼지 예찰, 농장단위 방역 관리 강화 외에 방역 취약분야에 대한 점검과 보완을 실시하고 있음

전국에 산재되어 있던 불법 축사를 일제 점검해 미등록 농가 등을 적발해 소독 등 방역조치를 신속히 실시하였고

한탄강 등 접경지역 하천수·토양, 발생농장의 지하수와 주변 하천수에 대한 바이러스 검출 여부도 점검함

아울러, 다양한 요인의 전파 가능성을 고려하여 곤충, 멧돼지, 야생조류, 사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역학조사 위원으로 위촉하여 전파 가능한 잠재요인을 분석하고 있음

문의: 환경부 ASF 총괄대응팀 044-201-7243, 농식품부 ASF 종합상황반 044-201-2515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민통선 멧돼지 집중 포획, 반쪽짜리 아니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