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연차휴가 미사용수당… 보완입법 등 다각적 방안 강구 중

2019.11.15 고용노동부
목록

고용노동부는 “만 1년 근무하고 퇴직한 근로자에게 연차휴가가 발생한다는 것은 ’06년 이후 우리부의 일관된 해석며, 대법원 판례 입장 등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2017년 11월 법 개정으로 2년간 사용할 수 있는 연차휴가가 총 26일이 됨에 따라, 만 1년 근무 후 퇴직한 근로자의 연차휴가 미사용수당도 최대 26일분이 되는 결과가 발생했다”며 “이에 보완 입법 등 다각적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11월 14일 조선일보 <1년 일하고 그만둬도, 2년차 연차수당 지급 고용부 지침에 “안줘도 된다” 판단>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국회는 2017년 11월 입사 초기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다 폭넓게 보장하겠다며 1~2년 근무에 대해 총 26일의 연차휴가 혹은 그에 해당하는 수당을 보장하도록 법을 바꿨다. 그런데 고용부는 개정된 법과 함께 ‘연차휴가는 1년간 일을 마치 대가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1년간 일하고 그만둔 근로자는 2년차 연차휴가에 해당하는 수당을 청구할 권리가 있다’는 취지의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1년만 일해도 2년차 연차수당까지 줘야 한다는 해석을 해온 것이다.

[노동부 설명]

□ 만 1년 근무하고 퇴직한 근로자에게 연차휴가(15일)가 발생한다는 것은 ’06년 이후 우리부의 일관된 해석*이며, 대법원 판례 입장** 등을 반영한 것임

*만 1년 근무하고 퇴직 시 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에 따른 연차휴가 발생 →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경우 15일의 연차휴가 부여

**‘연차휴가 및 연차휴가수당은 1년간의 근로의 대가’이고, ‘1년간의 소정근로를 마치면 그 청구권을 확정적으로 취득’하며, 연차휴가 수당에 대해서는 근로관계 존속이나 사용 가능 여부와 관계없이 청구권이 있음

□ 다만, ’17.11월 법 개정*으로 1년 근무에 따른 연차휴가 15일에서 1년 미만에 발생한 11일을 차감하는 규정을 삭제하여, 2년간 사용할 수 있는 연차휴가가 총 26일이 됨에 따라

*(기존) 최초 1년간의 근로에 대하여 유급휴가를 주는 경우 1년차 때 지급한 휴가(11일)를 포함하여 15일(개정) 1년 근로 시 1년차 연차휴가(11일)와 별도로 15일의 연차휴가 발생

ㅇ 만 1년 근무 후 퇴직한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연차휴가 미사용수당도 최대 26일분(1년차 11일 + 2년차 15일)이 되는 결과 발생

□ 이에 따라, 연차휴가 미사용수당 부담 등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휴식권 강화라는 ’17년 법 개정 취지에 맞게 제도를 운용하기 위해, 보완 입법* 등 다각적 방안 강구 중 

*현재 1년 미만 연차휴가에 대한 사용촉진 제도를 신설하는 개정안 旣발의(’19.3.15, 김학용의원 대표발의)

문의 : 고용노동부 임금근로시간과(044-202-7543)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가습기살균제 업체 재조사 소홀히 처리?… 사실과 다르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