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계란 생산기반은 6월말에 평년수준으로 정상화 됐다”며 “다만, 코로나19로 인한 수요가 증가한 상황에서 추석 수요가 겹쳐 일시적으로 수요가 늘어난 상황이므로 수요를 충당할 수 있도록 충분한 물량을 수입해 시중에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9월 6일 머니투데이 <에그머니!…수입산 풀어도 안 잡히는 계란값>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1억개 수입 규모로는 코로나19로 늘어난 수요를 감당하기에 부족
○ 통계청에 따르면 올 6월말 기준 산란계는 6,587만 1,000마리로 1년 전보다 905만마리 줄어, 회복하는데 최소 6개월이 걸림
○ 공급 측면에 문제가 있고, 9~10월부터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늘어난 계란 수요를 충당할 것 등을 보도
[농식품부 입장]
<1> “정부는 이달에도 1억개를 수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정도 규모의 수입으론 계란소비량을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일평균 국내 계란 소비량은 현재 4,500만개 이상이다”에 대하여
□ 산란계 사육마릿수 회복으로 일일 계란생산량은 6월말 4,300만개로 평년 수준을 회복했고, 7월말에는 4,400만개, 8월말에는 4,500만개로 증가하였으나, 현재 과잉이었던 작년 9월(4,638만개)보다는 일일 약 100만개 수준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다만, 당초 코로나19 확산이 진정되면 계란수요가 평년수준으로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했던 것과 달리, 코로나19가 재확산되는 상황에서 추석 수요로 인해 계란 수요는 일일 4,500~4,600만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이에, 정부는 8월 1억개 수준으로 계란 수입량을 확대하여 일일 300만개 이상 충분히 공급하고 있으며, 수입계란 공급 등에 따라 7.29일 산지가격*이 5,900원대(특란 30개)로 하락하면서, 소비자가격도 지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계란 수입으로는 계란 소비량을 감당할 수 없다는 분석은 사실과 다릅니다.
* 산지가격 : (7.19.주간) 6,118원/30개 → (7.29.) 5,974 → (8.13.) 5,687 → (8.31) 5,519 → (9.3) 5,441
** 소비자가격 : (7.19.주간) 7,451원/30개 → (7.29.) 7,308 → (8.13.) 6,893 → (8.31) 6,743 → (9.3) 6,615
<2> “수요는 급증한데 반해 AI로 감소한 산란계 개체수 회복은 더디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6월말 기준 국내 산란계는 6,587만 1,000마리로 1년 전보다 905만마리 줄었다. 올 2~3월 재입식된 산란계가 성장하는데 최소 6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개체 수 회복까지는 시간이 걸린다”에 대하여
□ 통계청 가축동향조사결과는 6월 1일 기준으로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므로, 6월말 기준 산란계가 6,587만 1,000마리라고 보도한 것은 잘못된 것이며,
□ 올 2~3월 재입식된 산란계가 성장하는데 최소 6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개체수 회복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 그간 산란계는 1,696만마리가 살처분되었으나, 지난 12월부터 8월까지 살처분마릿수보다 훨씬 많은 3,466만마리의 산란계 병아리가 기존 생산 가능 양계농가 및 살처분농가에 입식되었고, 산란노계는 1,136만마리가 도태되어 사육마릿수는 이미 빠르게 회복되었습니다.
○ 이에, 작년 12월에 입식된 산란계 병아리와 12~2월 중에 입식된 산란계 중추는 5월중순 이후 이미 계란 생산에 가담하고 있으며, 금년 1~3월에 입식된 병아리는 6~8월 중에 계란 생산을 시작하였고, 중추농장 및 육계농장 등에 입식되었던 산란계 병아리의 경우 최대 110~120일령까지 성장한 후 산란계 농장에 입식됨에 따라 입식 후 빠르면 30~40일이후 계란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통계청이 발표한 6월 1일 기준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평년 수준에 근접한 6,587만마리이고, 산란계 입식 실적 및 사육 형태 등을 고려할 때 6월말에 이미 평년 수준을 회복한 후, 7~8월에는 평년보다 많은 산란계가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3> “정부관계자는 농축수산물 가격상승세가 빠르게 둔화하지 않는 데는 공급 측면의 문제가 있다면서 재입식한 산란계가 성장하는데 보통 6~7개월이 걸리는 만큼 9~10월부터 개체수요가 증가하면서 늘어난 계란수요를 충당할 것이라고 말했다”에 대하여
□ 농림축산식품부는 그간 지속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산란계 사육마릿수가 이미 정상화되어 계란을 생산하고 있으므로, 공급 측면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 다만, 코로나19로 인한 수요가 증가한 상황에서 추석 수요가 겹쳐 일시적으로 수요가 늘어난 상황이므로 수요를 충당할 수 있도록 충분한 물량을 수입하여 시중에 공급하고 있으며,
○ 국내 계란 공급여력 회복 효과가 가격인하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단체(양계협회, 계란유통협회 및 식용란선별포장협회 등)와 긴밀히 협조하여 가수요 억제, 계란 수급·유통상황 점검 등 유통관리 대책을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경영과(044-201-2338)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9월 6일 오늘의 바로잡는 언론보도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