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자금 안전관리 위해 지속 노력

2021.12.07 행정안전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행정안전부는 “지역사랑상품권법 개정안이 지난 10월 19일 공포돼 시행을 앞두고 있다”면서 “개정법률 시행 전까지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자금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12월 6일 문화일보 <선불충전금 관리 法·제도 허술한데…李, 내년 지역화폐 예산 30兆 ‘관철’>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사랑상품권 사업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운영대행사의 선불충전금 관리와 관련된 법적 근거가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

[행안부 입장]

○ 현재 선불충전금 등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자금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한 「지역사랑상품권법」개정안이 지난 10월 19일 공포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22.4.20. 시행)

○ 동법에 따르면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자금은 원칙적으로 지자체가 직접 관리하도록 하되, 

- 예외적으로 직접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행정안전부장관과의 사전 협의를 거쳐 신탁계약 체결 등을 통해 관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자금의 보유·관리 현황을 반기별로 지자체 홈페이지 등에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하는 내용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 개정 지역사랑상품권법

제4조의2(지역사랑상품권의 자금관리) ①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사용자가 지역사랑상품권을 구매하기 위해 지급한 자금,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지 않고 남은 지역사랑상품권 금액 및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자 등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판매·환전하기 위한 자금(이하 “상품권운영자금”이라 한다)을 보관·관리하기 위한 계정을 지방자치단체의 금고에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다만, 불가피한 사유로 상품권운영자금을 지방자치단체의 금고에 계정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없는 경우에는 행정안전부장관과 사전 협의를 거쳐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신탁업자와의 신탁계약 체결 등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②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반기별로 상품권운영자금의 보유·관리 현황을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여야 한다.

○ 행정안전부는 개정법률 시행 전까지 운영대행사가 관리하는 계좌를 지자체의 계좌로 전환하여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자금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지역금융지원과(044-205-3943)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염모 기능 새 성분은 원료 등록 후 기능성화장품 심사 받아야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