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중기부 “지난해 국내 벤처투자 규모 전년 대비 50% 가까이 줄어들었다?…사실과 다르다”

2024.01.27 중소벤처기업부
목록

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 국내 벤처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50% 가까이 줄어들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면서 “지난해 전체 벤처투자 규모는 10~11조원으로 추정되며, 2월 중 발표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1월 26일 연합뉴스 <작년 스타트업 투자 유치금 5조 3천억원…전년 대비 52% 급감?, 아시아경제 <얼어붙은 투자시장…지난해 스타트업 투자금 반토막>, 뉴시스 <지난해 스타트업 총 투자금 5조원…전년比 52% ‘급감’>에 대한 중소벤처기업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23년 국내 벤처투자 규모 관련, 사단법인 ‘스타트업얼라이언스’의 집계결과(5.3조원, 전년比 △52%)를 인용하여 ’22년보다 크게 줄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기부 설명]

①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벤처캐피탈(VC) · 펀드의 ’23년 투자규모(5.4조원)는 전년(6.8조원) 대비 20% 감소하였습니다.

중기부는 <벤처투자법>에 따른 벤처캐피탈 등의 투자 및 펀드결성 등 실적을 전수조사*하고 있고, ’23년 상반기부터는 민간벤처투자협의회와 협업하여 금융위원회 소관 벤처캐피탈 등의 실적을 전수조사한 결과까지 포함하면서 국내 전체 벤처투자 시장규모**·동향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 해당 조사를 위한 실적보고 미이행 시,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법 제80조제5호)

** 최근 5년간(’18~’22) 국내 벤처투자 중 중기부+금융위 소관 VC 비중(추정) : 92~94%

반면, 민간기관 집계결과는 설문조사·언론보도 취합 등에 따른 것이므로 국내 벤처투자 규모 등을 온전하게 포함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와 크게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설문조사 불응·▲투자계약 비공개 시 반영 곤란 등

중기부 소관 벤처캐피탈 등의 실적을 전수조사한 결과는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홈페이지(kvca.or.kr) · 벤처투자회사 공시시스템(diva.kvca.or.kr) 등에서 분기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금융위원회 소관 벤처캐피탈 등까지 포함한 ’23년 전체 벤처투자 규모는 10~11조원(전년比 △9~△18%)으로 추정되며, 2월中 발표 예정입니다.

금융위 소관 벤처캐피탈 등의 ▲’23년 1~3분기 투자액(4조원) · ▲최근 5년간(’18~’22) 국내 벤처투자 시장 내 비중*(43%) 고려시, 중기부 소관 벤처캐피탈 등의 실적(5.4조원)과 합산한 전체 벤처투자 규모는 10조원 내외로 추정됩니다.

* (참고) 중기부 소관 벤처캐피탈 등의 비중은 50%

따라서 국내 벤처투자 규모가 5.3조원으로 전년 대비 52% 감소하였다는 집계결과는 타당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문의 : 중소벤처기업부 벤처정책관실 투자관리감독과(044-204-772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정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 관련 업계의견 반영…미 정부와 긴밀 협의”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