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농식품부 “6월 한우 소비자가격 23%↓…도매가 하락분 충실 반영”

2024.06.17 농림축산식품부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6월 한우 소비자가격은 3년 전보다 23% 하락해 도매가 하락분이 충실히 반영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6월 14일 SBS 8시뉴스 <한우, 산지 가격 떨어졌는데…소비자가 그대로 왜?>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한우 도매가격은 3년 전보다 30% 가까이 폭락했는데, 소비자 가격은 같은 기간 9% 떨어지는데 그쳤다.”라는 내용을 보도하였습니다.

[농식품부 설명]

올해 6월 한우 소비자가격(등심 1등급 기준)은 3년 전 같은 시기 대비 약 23.0% 수준 하락하는 등 도매가격 하락분은 소비자가격에 충실히 반영되고 있습니다.

동 기사에서는 3년 전 소비자가격을 비교할 때 특정 일자를 찍어서 비교하고 있는데,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월 단위나 최소 순기* 단위로 비교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상순) 월의 1~10일, (중순) 월의 11~20일, (하순) 월의 21~30일

2024년 6월* 한우 도매가격(거세우)은 3년 전인 2021년 6월 대비 29.5% 하락했으며, 같은 시기 소비자가격은 23.0% 하락**했습니다. 이는 소비자가격이 도매가격 하락분의 절반 정도 반영(유통비용률 53.0%)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도매가격 하락분이 소비자가격에 충실히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같은 기간 예상 소비자가격 하락률은 약 14% 수준)

* 6월 중순까지의 확정치
** 도매가격(거세우) : (‘21.6월) 23,971원/kg → (‘24.6월p) 16,901 (‘21년비 29.5%↓), 소비자가격(등심 1등급) : (‘21.6월) 10,641원/kg → (‘24.6월p) 8,196 (‘21년비 23.0%↓)

특히, 2024년 6월 등심 1등급 소비자가격은 소고기 가격이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전인 2020년 수준 보다도 낮게 하락하였으며, 설도 1등급 소비자가격은 8년 전인 2016년 수준 보다도 낮아진 상황입니다.

* 등심 1등급 : (‘20.6월) 10,006원/100g → (‘22.6월) 10,523 → (‘24.6월) 8,196
* 설도 1등급 : (‘16.6월) 4,611원/100g → (‘20.6월) 4,840 → (‘24.6월) 3,786

이는 지난해부터 ‘한우 수급안정 대책’(‘23.2월 발표)에 따라 매월 한우협회 등 생산자단체, 농축협 하나로마트 등과 협력하여 한우 반값 할인행사(일명 ‘소(牛)프라이즈’)를 추진하고 있으며,

농협경제지주가 권장판매가*를 수시로 제시하여 전국 하나로마트의 소비자가격을 대폭 낮춰 민간 유통업체의 가격인하를 유도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 도·소매가 연동이 속도감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원육 매입가와 매장이익률 등을 상시 조사하여 도출

앞으로도 농식품부는 유통비용 절감을 위해 생산자단체와 한우 직거래 체계 구축(정육식당 설치 지원 검토 등), 축산물 온라인 경매 확대 및 온라인 부분육 경매 도입 등 대책을 추진하겠습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 축산경영과(044-201-2332), 축산유통팀(044-201-2318)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농식품부 “사료 구매자금 상환 연기 정해진 바 없어”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