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체온증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저체온증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저체온증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저체온증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저체온증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저체온증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저체온증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겨울에 더 조심해야 하는 수난 사고! 저체온증 조심하세요!
1. 겨울 바다 사고?
뗏목을 타고 바다낚시를 하다가 바다에 빠진 A씨. 방파제를 걷다가 발을 헛디뎌 바다에 빠진 B씨 등 여름과 크게 다를 것 없는 사고지만 구조된 이들은 모두 저체온증으로 위험한 상황이었습니다.
2. 겨울바다, 저체온증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
비동절기(19.5℃)에 비해 5℃ 가량 낮은 11~2월 동절기(14.2℃) 해수면 온도
낮은 수온에 바람까지 불면 수면 위에 떠 있는 사람의 체감 온도는 영하로, 이로 인해 저체온증에 걸리면 피를 공급하는 심장 부근 체온이 떨어져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되는 거죠.
3. 저체온증?
인체의 중심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
① 32~35℃(경증): 피부가 창백, 입술이 청색, 판단력이 느려짐
② 28~32℃(중증도): 온몸의 근육이 경직, 기억상실, 의식장애
③ 28℃ 이하(중증): 심정지나 혈압이 떨어짐, 반사 능력 상실
4. 저체온증으로 인한 생존시간 단축
동절기 조난자가 최대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약 23시간으로 비동절기(40시간) 대비 17시간 감소됩니다.
• 5℃
50% 생존시간: 약 1시간
• 10℃
50% 생존시간: 약 2시간
• 15℃
50% 생존시간: 약 6시간
• 20~30℃
50% 생존시간: 24시간 이상
* 참고자료: <수온대별 생존가능시간(IAMSAR) 매뉴얼>
5. 겨울 바다, 저체온증 이렇게 대처하세요.
① 물에 빠졌다면 빠르게 몸을 말리고 따뜻한 곳으로 대피하기
② 구명조끼 착용하기(저체온증을 지연시키는 역할)
③ 젖거나 조이는 의복 피하기
④ 두꺼운 옷으로 보온 유의하기
한 겨울 서핑? 낚시? 남다른 정취를 만끽하는 여행? 다 좋지만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사고로 인한 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내세요!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