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4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2024.08.02 통계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안녕하십니까?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입니다.

지금부터 2024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겠습니다.

2페이지입니다.

2024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3으로 전월대비 0.3% 상승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 2.6% 상승하여 전월 2.4%보다 0.2%p 상승하였습니다.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2.2%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2.1%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3%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식품은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3.4% 각각 상승하였고,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3% 하락,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하였습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7.7%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1% 각각 하락하였고,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6.3% 상승, 전년동월대비 1.7% 하락하였으며,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2.1% 하락, 전년동월대비 21.3% 상승하였습니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2.1%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지출목적별로 살펴보면 전월대비 교통, 식료품·비주류음료, 음식·숙박, 오락·문화, 가정용품·가사서비스, 교육, 기타 상품·서비스, 의류·신발, 주류·담배는 상승하였고, 보건, 통신은 변동이 없었으며, 주택·수도·전기·연료는 하락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교통,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음식·숙박, 기타 상품·서비스, 주택·전기·연료, 보건, 의류·신발, 교육, 오락·문화,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주류·담배, 통신 모두 상승하였습니다.

품목성질별로 살펴보면 상품은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2.9%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0.9%, 전년동월대비 5.5% 각각 상승하였고,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2.6% 각각 상승하였으며, 전기·가스·수도는 전월대비 5% 하락, 전년동월대비 1% 상승하였습니다.

서비스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집세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전년동월대비 0.4% 상승하였습니다.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9%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2.9%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주요 등락품목은 7페이지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고 질문 있으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석유류 가격이 2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는데 그 상승에 어떤 배경이 있는지 요인 좀 설명해 주십시오.

<답변> 석유류는 유류세 인하의 축소, 유류세 인하분이 축소하였고 그리고 국제유가가 상승하였습니다. 그리고 작년에 유가가 낮았기 때문에 그 기저효과도 일부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질문> 말씀하실 때 카메라 보고.

<답변> 아, 카메라. 네, 알겠습니다.

<질문> 그리고 농산물도 9% 올랐는데요. 이것도 역시 배경 좀 말씀 부탁드립니다.

<답변> 농산물은 채소는 하락하였습니다. 그런데 과실하고 곡물, 기타 농산물이 상승해서 9% 상승하였습니다. 과실은 전월에 비해서는 하락하였지만 전년동월은 상승하였고, 채소는 전월은 하락하였지만 전년동월은 상승하였습니다.

<질문> 전기·가스·수도비 같은 경우에는 이번에 1% 낮은 상승률인데 이것도 배경을 말씀 부탁드립니다.

<답변> 전기·가스·수도는 계속 그렇게 높은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그리고 7~8월에는 하계 누진제가 완화되고 이번 달에는 전력산업 기반 기금도 인하하였기 때문에 전기료에서 하락이 좀 있었고 전반적으로는 안정세로 보여집니다.

<질문> 매번 같은 말씀이긴 한데 이제 앞으로 물가 등락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 뭐로 볼 수 있는지.

<답변> 지금 석유류 쪽은 가중치가 크기 때문에 그리고 외생 변수이기 때문에 국제유가가 국제 정세에 따라서 변동하기 때문에 그 부분들이 어떻게 되는지 지켜봐야 될 것이고, 농산물 같은 경우는 날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 날씨에 따라서 어떻게 되는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질문> 과일값이 여전히 강세인데 특히 배 같은 경우에는 역대 최대 상승 폭이네요?

<답변> 네, 배는 계속해서 역대 최대 상승이고 아마 새로운 상품이 나올 때까지는 지속되는 것 같습니다.

추가 질문 없으면 총평하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6% 상승하였습니다. 농산물 등의 상승 폭이 축소되었으나 석유류와 외식제외서비스 등의 상승 폭이 확대하여 전월의 2.4%보다 0.2%p 상승하였습니다.

이상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끝>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나라사랑 가게 사업 추진 성과 및 향후 계획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