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외교부 대변인 정례브리핑

2025.01.14 외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안녕하십니까? 1월 14일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제가 먼저 말씀드릴 사안은 없습니다. 질문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생포된 북한군 2명과 관련한 질문인데요. 이들이 한국 귀순을 원할 경우 우리 정부 입장은 어떤지 궁금하고요. 그리고 이럴 경우를 대비해서 정부가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와 소통하고 있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답변> 질문 주신 사항 관련해서 우리 관계 당국이 북한군 포로 관련 정보를 우크라이나측과 현재 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북한군은 헌법상 우리 국민인 만큼 귀순 요청 시 우크라이나와 협의할 계획입니다. 우리 관계당국에 따르면 아직 북측 병사의 귀순 관련 입장 표명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ICRC와) 현재 소통하고 있는 것은 없고 북한군 포로 신병과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현재로서는 곤란한 점을 양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질문> 세 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일단은 먼저, 다음 주로 다가온 트럼프 행정부의 취임식에 우리 외교부 대표단 파견이 이루어지는지 다시 한번 여쭙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질문은 오늘 니혼게이자이신문에서 11월에 일본 측이 2+2 한일 외교·국방장관 회의를 제안했었다고 보도했는데요. 관련해서 협의가 이루어졌었는지도 여쭙고, 그리고 지금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차관이 국방장관 대행을 하고 있고 일본 같은 경우에는 방위심의관이 최근 갑질로 정직 30일이 된 상태인데 이렇게 양쪽 카운터파트가 교차로 해서 공석이거나 할 경우에 외교 관례상으로 어떤 식으로 대화가 이루어지는지를 여쭙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 질문은 지난번 대만 해저케이블 관련해서 대만 측에서 수사 공조를 요청했었는데 이 케이블이 한국과도 연결돼 있는 케이블이잖아요. 그래서 중국측과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지도 여쭙습니다.

<답변> 먼저, 해저케이블 관련 세 번째 질문부터 답변드리겠습니다. 관련 사항은 주무 부처인 해경 측에 문의해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두 번째, 일본 신문에 나왔다고 하는 한일 2+2 관련해서는 저희가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외교 관련 협의 사항에 대해서 공유드리기 어려운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말씀 주신 대로 대행 또는 일본 내부 정부 관련된 사항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사항 관련해서는 양해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구체적인 사항은 예단해서 말씀드릴 수 없기 때문에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관련해서는 현재 정부 대표 누가 갈지 정해진 바 없습니다.

<질문> 어제 국회에서 국가정보원이 북미 정상회담의 재개 가능성을 언급했는데요. 핵 동결이나 핵 군축과 같은 이른바 스몰딜 형태까지 언급을 했습니다. 외교부에서 북미 회담 재개 가능성과 관련해 어떻게 대응하고 계신지 말씀 부탁드리고요. 그리고 핵 동결이나 이런 스몰딜 같은 경우에는 우리 정부가 일관되게 추진하고 있는 비핵화 목표와는 다소 배치되는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외교부 평가 있으시면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우리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 동맹국인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고, 그 외 북미 정상회담 같은 가정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현 단계에서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더 질문 없으시면 이상 마치겠습니다.

<끝>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2025년 주요현안 해법회의 사전 합동브리핑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