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잘 안쓰는 단어 잘못 발음하는 사람 많아

국립국어원, 표준어권 1000명 발음 실태 조사

2005.02.18 정리 : 손혁기
글자크기 설정
목록
'곁으로'의 발음을 [겨츠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서울, 경기도 출신 40대 이상 1천여명을 대상으로 '잎, 밭, 부엌, 햇빛' 등 'ㅍ, ㅌ, ㅋ, ㅊ'으로 끝나는 38개의 단어의 발음실태 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대체로 흔히 쓰이는 단어는 표준 발음을 사용했으나,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단어는 잘못 발음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예컨데 '팥을'이나 '오지랖이'는 [파슬], [오지라비]로 잘못 발음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겉을', '숲에'는 [거틀], [수페]로 올바르게 발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 '부엌, 새벽녘'도 [부어기], [새병녀게]와 같이 'ㅋ'보다는 'ㄱ'으로 틀리게 발음하는 비율이 높았다.

‘ㅌ’ 받침으로 끝나는 단어 중 '곁으로, 머리맡을, 끝을, 뒤꼍으로'도 [겨츠로], [머리마츨], [끄츨], [뒤껴츠로]로 받침소리를 'ㅊ'로 잘못 발음하는 비율이 높았다.

반면 '옆으로', '늪에서', '겉을', '밭의' 등의 ‘ㅍ’, ‘ㅌ’ 받침 단어는 다른 받침보다도 [여프로], [느페서], [거틀], [바틔/바테]와 같이 표준 발음을 사용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또 '부엌', '새벽녘'은 대체로 나이가 많을수록 [부어케], [새병녀클]과 같이 표준 발음으로 발음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햇빛을'[핻삐츨], '꽃을'[꼬츨], '닻으로'[다츠로], '낯은'[나츤] 등은 나이가 어릴 수록 표준 발음으로 발음하는 비율이 높았다.

앞으로 국립국어원은 현대 국어의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표준어권을 비롯한 전국적인 언어 실태 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