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당뇨병』합병증이 더 괴롭다. 절반 이상이 합병증 동반
2012년‘ 당뇨병’ 진료환자 221만명, 총진료비 1조 4천억원 지출
‘ 당뇨병’ 진료환자 중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급증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서 ‘ 당뇨병(E10∼E14)’ 진료환자의 최근 5년간(2008-2012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8년 179만명에서 2012년 221만명으로 연평균 5.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8년 1조 1천억원에서 2012년 1조 4천억원으로 연평균 5.2% 증가하였는데 이는 2012년 건강보험 전체진료비 47조 8천억원 중 약 3%를 차지하는 수치다. 보험자부담금은 2008년 7천9백억원에서 2012년 9천6백억원으로 연평균 5.1% 증가하였다.
< 연도별 ‘ 당뇨병’ 진료비 / 급여비 현황 >
(단위 : 명, 백만원)
구 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연평균 증가율 |
---|---|---|---|---|---|---|
진료인원 | 1,789,945 | 1,908,352 | 2,018,963 | 2,163,678 | 2,214,935 | 5.5% |
총진료비 | 1,142,670 | 1,255,176 | 1,351,547 | 1,429,203 | 1,400,533 | 5.2% |
보험자부담금 | 787,342 | 865,838 | 933,984 | 986,698 | 960,698 | 5.1% |
최근 5년간 당뇨병 진료환자의 연령대별 특성을 살펴보면 30대까지의 환자 비율은 전체 환자의 5% 이하인 반면 40대에서는 10% 이상으로 급증하였다.
당뇨병 진료환자가 급격히 증가되는 30대부터 꾸준한 예방을 통해 발병 확대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 연령대별 ‘ 당뇨병’ 진료현황 >
(단위 : 명, %)
구 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
전 체 | 1,789,945 | 100.0 | 1,908,352 | 100.0 | 2,018,963 | 100.0 | 2,163,678 | 100.0 | 2,214,935 | 100.0 |
10대 이하 | 8,024 | 0.4 | 8,336 | 0.4 | 8,013 | 0.4 | 7,808 | 0.4 | 7,752 | 0.3 |
20대 | 18,523 | 1.0 | 18,423 | 1.0 | 17,597 | 0.9 | 17,160 | 0.8 | 16,823 | 0.8 |
30대 | 79,340 | 4.4 | 79,354 | 4.2 | 78,641 | 3.9 | 79,570 | 3.7 | 77,400 | 3.5 |
40대 | 267,405 | 14.9 | 274,598 | 14.4 | 273,235 | 13.5 | 279,333 | 12.9 | 276,460 | 12.5 |
50대 | 463,540 | 25.9 | 498,406 | 26.1 | 535,123 | 26.5 | 584,151 | 27.0 | 594,308 | 26.8 |
60대 | 525,308 | 29.3 | 548,423 | 28.7 | 575,585 | 28.5 | 599,055 | 27.7 | 601,290 | 27.1 |
70대 이상 | 427,805 | 23.9 | 480,812 | 25.2 | 530,769 | 26.3 | 596,601 | 27.6 | 640,902 | 28.9 |
주) 비중 : 연도별 전체 당뇨병 진료인원 대비 연령대별 진료인원 비율
2012년 연령대별 적용인구 1만명당 ‘ 당뇨병’ 진료환자를 성별로 보면 당뇨병 진료환자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이 분포하고 있다.
남성이 여성 보다 많았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 30대를 기점으로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다.
40∼60대 연령층에서는 여성 보다는 남성이 두드러지게 많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30대에서 40대의 증가폭은 남성(308명 증가)이 여성(139명 증가) 보다 더 컸으며, 50대에서 60대의 증가폭은 여성(743명 증가)이 남성(596명 증가)에 비해 더 가파르게 나타났다.
당뇨병은 고혈압 다음으로 의료이용 빈도(급여일수)가 높은 단일질병이며, 총진료비가 가장 많은 고혈압(2억 3천만원) 다음으로 많이 지출되는 질병이다(2012 건강보험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송영득 교수는 "당뇨병은 한번 발병하면 자연적으로 완치되는 경우는 5% 미만이고, 아직까지 완치시키는 약도 개발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위험군에 대한 철저한 예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당뇨합병증에는 ▲신경병증을 동반한 당뇨병 ▲눈(망막병증, 백내장 등) 합병증 ▲말초순환장애(말초혈관 및 순환기계 등) 합병증 ▲다발성(궤양 및 괴저 등) 합병증 ▲신장 합병증(당뇨병신장병 등)이 있으며, 전체 환자 중 50%(2012년 기준) 이상이 주요 당뇨합병증으로 진료를 받았다.
특히, 발이 저리고 통증이 동반되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진료환자가 합병증 환자 중 가장 많았으며, 당뇨망막병증 등 눈 관련 합병증은 2008년 23만명에서 2012년 31만명으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연도별 ‘ 주요 당뇨합병증’ 진료현황 >
(단위 : 명, %)
구 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비중 (2012년기준) |
---|---|---|---|---|---|---|
신경병증 동반 | 284,130 | 297,071 | 302,689 | 337,488 | 318,812 | 14.4 |
눈 합병증 | 231,421 | 246,246 | 259,784 | 305,571 | 313,123 | 14.1 |
말초순환장애 합병증 | 308,309 | 319,310 | 329,736 | 311,845 | 257,924 | 11.6 |
다발성 합병증 | 152,261 | 162,737 | 165,656 | 141,740 | 119,628 | 5.4 |
신장 합병증 | 91,730 | 94,162 | 95,139 | 103,785 | 106,161 | 4.8 |
요양기관종별 당뇨병 진료환자의 총진료비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환자의 68.2%(2012년 기준)가 의원에서 진료를 받았다.
병원급에서는 종합병원 > 상급종합병원> 병원 > 요양병원 순(順)으로 이용하였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을 이용한 진료환자수의 변화는 각각 연평균 3.2%, 2.7% 증가한 반면 병원 이용 환자는 연평균 10.8%, 요양병원 이용 환자는 연평균 8.3%씩 급증하였다.
< 요양기관종별 ‘ 당뇨병’ 진료현황 >
(단위 : 명, %)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연평균 증가율 | |||||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
상 급 종합병원 | 218,962 | 12.2 | 257,424 | 13.5 | 273,436 | 13.5 | 278,635 | 12.9 | 248,410 | 11.2 | 3.2% |
종합병원 | 350,103 | 19.6 | 353,602 | 18.5 | 385,200 | 19.1 | 407,692 | 18.8 | 389,950 | 17.6 | 2.7% |
병 원 | 150,429 | 8.4 | 167,332 | 8.8 | 177,501 | 8.8 | 201,013 | 9.3 | 226,716 | 10.2 | 10.8% |
요양병원 | 19,493 | 1.1 | 21,262 | 1.1 | 22,604 | 1.1 | 24,261 | 1.1 | 26,860 | 1.2 | 8.3% |
의 원 | 1,199,826 | 67.0 | 1,268,921 | 66.5 | 1,332,774 | 66.0 | 1,432,896 | 66.2 | 1,509,609 | 68.2 | 5.9% |
※ 보건기관(보건소, 보건지소 등) 진료현황은 제외
요양기관종별 당뇨병 진료환자의 총진료비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진료비의 38.8%(2012년 기준)가 약국에서 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의원에서 8.8%(2012년 기준)가 지출되었다.
병원급에서 지출된 당뇨병 진료환자 진료비 현황을 보면 2008년 종합병원 > 상급종합병원> 병원 > 요양병원 순(順)으로 진료비가 많았으나, 2012년에는 종합병원 > 요양병원 > 상급종합병원> 병원 순(順)으로 변경되었다.
요양병원을 이용한 당뇨병 진료환자의 연간 총진료비가 매년 24%씩 급증하여 2009년부터 요양병원이 병원 총진료비를 추월했으며, 2012년에는 상급종합병원의 총진료비 787억9천만원을 넘어선 814억9천4백만원을 지출하였다
< 요양기관종별 ‘ 당뇨병’ 건강보험 총진료비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연평균 증가율 | |||||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환자수 | 비중 | ||
상 급 종합병원 | 75,472 | 4.2 | 84,744 | 4.4 | 86,361 | 4.3 | 89,934 | 4.2 | 78,790 | 3.6 | 1.1% |
종합병원 | 116,904 | 6.5 | 118,643 | 6.2 | 126,708 | 6.3 | 131,463 | 6.1 | 130,686 | 5.9 | 2.8% |
병 원 | 36,715 | 2.1 | 40,554 | 2.1 | 42,943 | 2.1 | 46,355 | 2.1 | 46,996 | 2.1 | 6.4% |
요양병원 | 34,487 | 1.9 | 47,617 | 2.5 | 58,152 | 2.9 | 67,278 | 3.1 | 81,494 | 3.7 | 24.0% |
의 원 | 139,975 | 7.8 | 150,041 | 7.9 | 161,803 | 8.0 | 178,212 | 8.2 | 194,390 | 8.8 | 8.6% |
약 국 | 731,975 | 40.9 | 805,485 | 42.2 | 866,984 | 42.9 | 906,609 | 41.9 | 859,367 | 38.8 | 4.1% |
※ 보건기관(보건소, 보건지소 등)에서 지출된 진료비 제외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송영득 교수는 ‘ 당뇨병’ 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관리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당뇨병의 원인 및 증상
현재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0% 정도는 당뇨병에 취약한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추정되는 데 과거에 노동과 운동을 많이 하고, 적게 먹었던 시절에는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최근 30년간 경제가 발달하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유전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에게 당뇨병이 나타나고 있다.
운동부족, 비만한 체형, 복부비만, 고지방․고열량식사, 당분이 많은 음식, 가공식품, 밀가루 가공음식 등이 당뇨병을 증가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 40세 이상 환자가 많은 이유
당뇨병에 취약한 유전자는 성인이 될 때까지 발현되지 않지만 30대부터는 체질이 성인으로 바뀌면서 당뇨병 유전자의 발현이 시작되고, 당뇨병의 위험인자(운동부족, 식생활의 서구화)들도 몸에 해를 끼치면서 누적되었다가 당뇨병으로 발현이 시작되는 시점이 30대부터이므로 40대에는 급격히 당뇨병이 많아지게 된다. 그 이후로는 조금씩 환자들이 누적이 되어 점차 많아지게 된다.
-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의 종류 및 치료법
당뇨병의 합병증은 근본적으로 망막혈관합병증으로 인한 실명, 신장 사구체혈관 합병증으로 인한 만성신부전, 신경혈관 손상으로 인한 신경병증이 있으며 또한 당뇨병 환자는 뇌졸중과 심장혈관질환이 비당뇨인에 비하여 3배 이상 높으므로 주의를 하여야 한다.
당뇨병의 모든 합병증은 혈당 조절을 잘 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다. 특히 당뇨병 초기부터 혈당 조절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합병증이 발생하면 해당 질환에 대한 특수 치료를 추가하여 합병증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 당뇨병 및 합병증 방치시 위험성
당뇨병을 방치하면 합병증이 환자를 괴롭히거나 또는 생명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급성 합병증으로 인한 고혈당성 혼수는 병원치료를 안하면 사망하게 되고, 만성 합병증은 실명, 혈액 투석, 발저림, 족부궤양, 하지 절단, 감염, 폐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수명을 단축시킨다.
- 당뇨병의 치료 예방법
당뇨병은 한번 발병하면 자연적으로 완치되는 경우는 5% 미만이고, 아직까지 완치시키는 약도 개발이 되지 않아 대부분의 환자는 혈당을 강하시키는 약제와 주사를 평생 매일 복용하는 치료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당뇨병은 발병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당뇨병은 발병하기 전에 수년간의 내당능 장애기간을 거치므로 검진에서 혈당이 올라간 것을 발견한 사람들은 철저한 식사와 운동요법 및 식생활 습관의 개선과 체중조절 등으로 당뇨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 40세 이전 당뇨예방을 위한 관리법
40대에 많이 생기는 당뇨병은 30대 초반부터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부족 및 비만 등이 누적된 결과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수칙으로 관리하여 당뇨병을 예방하자.
- 정상 체중을 유지한다. 체질량지수 20∼25kg/m2
- 복부비만을 관리한다. 허리둘레 남자 < 85, 여자 < 80 cm
- 고지방식과 육식은 줄이고 채소와 신선한 과일은 많이 섭취한다.
- 매일 유산소 운동(빠르게 걷기, 수영, 계단 오르기 등)을 30분 이상 하도록 한다.
-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으면 30세 이후에 해마다 공복혈당 검사를 받도록 한다.
- 공복혈당이 110mg/dl 이상으로 올라가면 전문의의 검진을 받도록 한다.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 「한국고고학전문사전(구석기시대 편)」 발간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2명 공정 채용…학력·경력·가족관계 무관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
최신 뉴스
- (국영문 동시배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폭염 대비 산불 피해지역 이재민 보호 및 물놀이 안전관리 실태 점검
- 제4차 우크라이나 복구회의(URC) 참석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환영합니다
- 국민과 함께 경제 회복의 길로 나아가겠습니다
- 제32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참석 결과
-
한미일 외교장관회담…"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 확고" 재확인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사업 현장 근로자 안전관리 실태 점검 - 영주국유림관리소, 온열질환 예방 등 산림사업 참여 근로자 안전점검 -
- 이 대통령, 언론인 오찬 회동 관련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