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다사용 개선에 정부가 팔 걷어붙이다
- 정부,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 및
’2014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 발표 -
□ 우리나라 국민 중 약 72%가 스마트폰을 사용 중인데 갈수록 중독위험성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범정부 차원의 중독 예방해소를 위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었다.
ㅇ 정부는 연령대별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위험군 등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대응을 위해 관계부처(미래창조과학부 등 8개 부처) 합동으로 ‘2014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고 밝혔다.
< 실태조사 결과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만5세 이상 54세 이하 인터넷 이용자 17,5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대인면접조사를 통하여 실시한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를 발표하였다.
※ 조사대상 확대 : (’12년) 만5~49세, 15,000명 → (’13년) 만5~54세 17,500명
ㅇ 인터넷 중독위험군은 조사대상 인터넷 이용자의 7.0%로 전년보다 0.2%p 감소하였는데, 연령별로 유아동은 6.4%(’12년 7.3%), 성인은 5.9%(‘12년 6.0%)로 전년 대비 모두 감소하였으나, 청소년은 11.7%로 최근 2년 연속 증가하였다(’11년 10.4% → ‘12년 10.7% → ‘13년 11.7%).
※ 인터넷 중독위험군 : 유·무선 인터넷을 과다사용하여 인터넷 이용에 대한 금단, 내성, 일상생활 장애 중 1가지 이상의 증상을 보이는 상태
□ 한편, 만10세 이상 54세 이하 스마트폰 이용자 15,564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은 스마트폰 이용자의 11.8%로 전년보다 0.7%p 상승하였으나 증가세는 둔화되었다(’11년 8.4% → ‘12년 11.1% → ‘13년 11.8%). 연령별로 청소년(만10~19세)은 25.5%로 전년(18.4%)보다 7.1%p 증가하였고, 반면 성인(만20~54세)은 8.9%로 전년(9.1%)보다 0.2%p 감소하였다.
ㅇ 스마트폰 중독위험군(11.8%) 중 고위험군은 1.3%로 전년(1.9%) 대비 감소하였으나, 중독위험 초기단계로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 또는 ‘습관적 과다사용’ 등의 특성을 보이는 잠재적위험군은 10.5%로 전년(9.2%) 대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ㅇ 스마트폰 이용자의 91.1%는 ‘스마트폰 중독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위험 해소방안으로 예방교육(51.5%)과 상담(26.2%)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ㅇ 스마트폰 유해정보차단 서비스 및 사용시간 관리 프로그램 이용 청소년(18.3%)은 많지 않았으나, 유용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각 87.3%, 87.4%)은 높았다.
< 2014년 추진계획 >
□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예방 확대, 관련 인프라 조성 등 ‘2014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ㅇ (예방교육 및 문화 확산) 유아, 초·중·고교생(714만명) 등에 대한 맞춤형 예방교육 의무화 실시를 위해 전문강사의 특강교육과 병행하여 각 연령대에 맞는 시청각 콘텐츠(5종)를 제공함으로써 유치원 및 학교에서 자체 예방교육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아울러, 건전게임문화 조성을 위한 게임과몰입 예방교육인 ‘찾아가는 게임문화교실’을 확대하고(17만명→22만명), 가족 중심의 예방실천 등 범국민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를 강화하며, 학교에서의 자율운동을 실천하는 ‘스마트미디어 청정학교’(20개)도 신규로 운영한다.
ㅇ (전문상담치료) 청소년의 중독 위험정도에 따라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등 지역별 유관기관을 활용한 차별화된 상담치유서비스를 강화하고, 공존질환 보유 청소년에 대한 병원치료를 연계한다(179개 협력병원).
ㅇ (제도 구축 및 인프라 조성) 스마트폰용 및 PC용 유해정보차단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 및 보급 확대(61.2만건)와 중독위험 청소년 대상 기숙형 치유서비스를 지원하는 상설 인터넷 치유학교를 신규 운영하며(8월), 지역별 인터넷중독대응센터 설치도 확대한다(13→16).
- 아울러, 의과학적·심리적·사회환경적 중독원인 규명, 중독 예방 및 조기발견 등을 위한 기술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5년간 430억원).
□ 정부 관계자는 미래창조과학부 등 8개 관계부처가 공동 마련한 이번 추진계획으로 청소년 등 국민 모두가 인터넷 및 스마트폰을 보다 건강하게 사용하여 국민행복 시대를 열어 나가고, 경제혁신과 창조경제를 실현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의 : 미래창조과학부 정보문화과 박성진 과장(02-2110-2970), 유승후 사무관(2975)
교육부 학교폭력대책과 오성대 과장(044-203-6539), 최부용 사무관(6436)
법무부 보호관찰과 손외철 과장(02-2110-3320), 정경아 주무관(3837)
국방부 병영정책과 박영식 과장(02-748-5160), 우재현 중령(5162)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 이수명 과장(044-203-2441), 정태구 사무관(2448)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이중규 과장(044-202-2860), 문상준 사무관(2865)
여성가족부 청소년매체환경과 김성벽 과장(02-2075-8681), 박수미 사무관(8689)
방송통신위원회 인터넷윤리팀 양기철 팀장(02-2110-1560), 박상우 사무관(1519)
- 정부,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 및
’2014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 발표 -
□ 우리나라 국민 중 약 72%가 스마트폰을 사용 중인데 갈수록 중독위험성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범정부 차원의 중독 예방해소를 위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었다.
ㅇ 정부는 연령대별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위험군 등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대응을 위해 관계부처(미래창조과학부 등 8개 부처) 합동으로 ‘2014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고 밝혔다.
< 실태조사 결과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만5세 이상 54세 이하 인터넷 이용자 17,5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대인면접조사를 통하여 실시한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를 발표하였다.
※ 조사대상 확대 : (’12년) 만5~49세, 15,000명 → (’13년) 만5~54세 17,500명
ㅇ 인터넷 중독위험군은 조사대상 인터넷 이용자의 7.0%로 전년보다 0.2%p 감소하였는데, 연령별로 유아동은 6.4%(’12년 7.3%), 성인은 5.9%(‘12년 6.0%)로 전년 대비 모두 감소하였으나, 청소년은 11.7%로 최근 2년 연속 증가하였다(’11년 10.4% → ‘12년 10.7% → ‘13년 11.7%).
※ 인터넷 중독위험군 : 유·무선 인터넷을 과다사용하여 인터넷 이용에 대한 금단, 내성, 일상생활 장애 중 1가지 이상의 증상을 보이는 상태
□ 한편, 만10세 이상 54세 이하 스마트폰 이용자 15,564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은 스마트폰 이용자의 11.8%로 전년보다 0.7%p 상승하였으나 증가세는 둔화되었다(’11년 8.4% → ‘12년 11.1% → ‘13년 11.8%). 연령별로 청소년(만10~19세)은 25.5%로 전년(18.4%)보다 7.1%p 증가하였고, 반면 성인(만20~54세)은 8.9%로 전년(9.1%)보다 0.2%p 감소하였다.
ㅇ 스마트폰 중독위험군(11.8%) 중 고위험군은 1.3%로 전년(1.9%) 대비 감소하였으나, 중독위험 초기단계로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 또는 ‘습관적 과다사용’ 등의 특성을 보이는 잠재적위험군은 10.5%로 전년(9.2%) 대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ㅇ 스마트폰 이용자의 91.1%는 ‘스마트폰 중독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위험 해소방안으로 예방교육(51.5%)과 상담(26.2%)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ㅇ 스마트폰 유해정보차단 서비스 및 사용시간 관리 프로그램 이용 청소년(18.3%)은 많지 않았으나, 유용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각 87.3%, 87.4%)은 높았다.
< 2014년 추진계획 >
□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예방 확대, 관련 인프라 조성 등 ‘2014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ㅇ (예방교육 및 문화 확산) 유아, 초·중·고교생(714만명) 등에 대한 맞춤형 예방교육 의무화 실시를 위해 전문강사의 특강교육과 병행하여 각 연령대에 맞는 시청각 콘텐츠(5종)를 제공함으로써 유치원 및 학교에서 자체 예방교육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아울러, 건전게임문화 조성을 위한 게임과몰입 예방교육인 ‘찾아가는 게임문화교실’을 확대하고(17만명→22만명), 가족 중심의 예방실천 등 범국민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를 강화하며, 학교에서의 자율운동을 실천하는 ‘스마트미디어 청정학교’(20개)도 신규로 운영한다.
ㅇ (전문상담치료) 청소년의 중독 위험정도에 따라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등 지역별 유관기관을 활용한 차별화된 상담치유서비스를 강화하고, 공존질환 보유 청소년에 대한 병원치료를 연계한다(179개 협력병원).
ㅇ (제도 구축 및 인프라 조성) 스마트폰용 및 PC용 유해정보차단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 및 보급 확대(61.2만건)와 중독위험 청소년 대상 기숙형 치유서비스를 지원하는 상설 인터넷 치유학교를 신규 운영하며(8월), 지역별 인터넷중독대응센터 설치도 확대한다(13→16).
- 아울러, 의과학적·심리적·사회환경적 중독원인 규명, 중독 예방 및 조기발견 등을 위한 기술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5년간 430억원).
□ 정부 관계자는 미래창조과학부 등 8개 관계부처가 공동 마련한 이번 추진계획으로 청소년 등 국민 모두가 인터넷 및 스마트폰을 보다 건강하게 사용하여 국민행복 시대를 열어 나가고, 경제혁신과 창조경제를 실현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의 : 미래창조과학부 정보문화과 박성진 과장(02-2110-2970), 유승후 사무관(2975)
교육부 학교폭력대책과 오성대 과장(044-203-6539), 최부용 사무관(6436)
법무부 보호관찰과 손외철 과장(02-2110-3320), 정경아 주무관(3837)
국방부 병영정책과 박영식 과장(02-748-5160), 우재현 중령(5162)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 이수명 과장(044-203-2441), 정태구 사무관(2448)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이중규 과장(044-202-2860), 문상준 사무관(2865)
여성가족부 청소년매체환경과 김성벽 과장(02-2075-8681), 박수미 사무관(8689)
방송통신위원회 인터넷윤리팀 양기철 팀장(02-2110-1560), 박상우 사무관(1519)
“이 자료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12일부터 김장철 수산물 최대 50% 할인…전통시장선 환급 행사도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겨울 난방비 최대 59만 2000원 지원
-
이 대통령 "경기북부 상황 안타까워…합리적인 일들 최대한 빨리 처리"
-
결혼정보회사 찾아간 INFJ 공무원
-
탄소중립위, 2035년까지 '온실가스 53~61% 감축안' 의결
-
이 대통령 "내년 더 중요…잠재성장률 반등시킬 정책 역량 총집중"
-
이 대통령 "수도권 일극 체제 개선…중앙·지방, 동등한 협력의 파트너 돼야"
-
이 대통령, 한미 '팩트시트' 발표…"통상·안보협의 최종타결"
-
정부,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확정…기존 대비 53~61%↓
-
급발진 방지하고 맨홀 추락 막고…내년 예산안에 담긴 이색사업
최신 뉴스
- 경기 평택 산란계 농장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라 방역관리 강화
- 도소매업, 건물종합관리업 등 대상 안전위험요인 집중 점검
- [국방과학연구소] 해양 무인유무인 복합 전투체계 연구개발 박차 가한다
- 정례브리핑
-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수본 공동본부장 브리핑문('25.11.15.)
- 국가유산청 "그간 종묘의 세계유산영향평가 이행 요청은 국제적 기준에 근거한 것"
- 한미 통상협상에서 농산물 추가 시장개방이 없도록 철저히 방어하였습니다.
- 장·차관급 인사 관련 김남준 대변인 브리핑
-
국방부,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 발표
-
이 대통령, 17∼26일 G20 정상회의 참석 및 중동 3개국 순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