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많은 『편두통』 호르몬과 관련 있어

2014.10.23 보건복지부
목록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많은 『편두통』 호르몬과 관련 있어

2007∼2013년 편두통 진료인원 남성 대 여성 비율 1 : 2.6

국민 100명당 1명꼴 연간 1회 이상 진료…40∼70대 여성 100명당 2명꼴

언제 편두통 생기는지 악화요인(특정 음식, 날씨, 약, 월경) 파악해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 편두통(G43)’ 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7년 42만6,645명에서 2013년 49만4,515명으로 매년 2.49%씩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하면 적게는 892명에서 많게는 1,012명으로 분석되어, 100명 중 1명이 연간 1회 이상 ‘ 편두통’ 으로 진료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 편두통’ 진료에 지출된 연간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07년 306억원에서 2013년 411억원으로 늘어 연평균 증가율은 5.03%로 나타났다.

< 2007∼2013년 ‘ 편두통’ 진료현황 >

< 2007∼2013년 ‘ 편두통’ 진료현황 >
구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
총진료비 (백만원) 30,678 33,608 37,463 39,564 41,054 43,237 41,181 5.03
진료인원(명) 426,645 450,428 492,423 479,434 482,189 501,149 494,515 2.49
10만명당 진료인원(명) 892.2 935.3 1,012.9 980.3 978.1 1,009.1 992.9 1.80

‘ 편두통’ 진료인원을 성별로 나누어 보면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여성이 남성에 비해 2.6배 이상 많았고,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72%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2007∼2013년 ‘ 편두통’ 진료인원의 성별 분포>

< 2007∼2013년 ‘ 편두통’ 진료인원의 성별 분포 >
구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
전체 426,645 450,428 492,423 479,434 482,189 501,149 494,515 2.49
남성 114,560 121,832 134,008 131,990 134,031 138,665 138,569 3.22
(%) (26.9) (27.0) (27.2) (27.5) (27.8) (27.7) (28.0)
여성 312,085 328,596 358,415 347,444 348,158 362,484 355,946 2.22
(%) (73.1) (73.0) (72.8) (72.5) (72.2) (72.3) (72.0)
(배) 2.7 2.7 2.7 2.6 2.6 2.6 2.6  

2013년을 기준으로 여성 환자를 연령대별로 나누어보면 50대(78,044명, 21.9%) > 40대(77,441명, 21.8%) > 30대(57,619명, 16.2%) 순(順) 이었으며, 이들이 전체 여성 진료인원의 60%를 차지하였다.

즉, ‘ 편두통’ 진료환자 4명 중 3이 여성이고, 여성 환자의 60%가 30∼50대인 셈이다.

<2013년 ‘ 편두통’ 진료 여성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 명) >

<여성 환자의 연령대별 분포>
구분 10대이하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80세이상
남성 16,513 16,938 24,194 24,367 23,346 16,104 13,413 3,694
여성 23,920 38,376 57,619 77,441 78,044 39,638 30,927 9,981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여성에게서 편두통 환자가 많고 특히 30∼50대에 집중된 것과 관련해, "편두통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 및 프로게스테론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가임기 여성에서 더욱 유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실제 일부 여성은 월경 때 편두통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하였다.

각 연령대별 ‘ 편두통’ 환자의 성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2013년을 기준으로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한 결과,

남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진료인원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 반면, 여성은 40대∼70대에서 약 2,000명(인구 10만명당)으로 고르게 많은 편이었다.

또한, 각 연령대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차 벌어지다가 50대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50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남성 603명에 비해 여성 2,026명으로 3.35배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아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3년 성별,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명)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편두통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편두통의 원인
    편두통의 원인은 아직 확실치는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이 있으며, 실제 다른 유전병과 같이 유전되는 편두통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 외에도 신경염증, 혈관수축, 중추 민감화(central sensitization) 등 다양한 학설이 있다.
  • 편두통의 진단방법
    편두통은 두통의 분류에 의하면 일차적 두통에 해당하며, 뚜렷한 이상소견 없이 두통이 발생한다. 따라서 국제 두통학회의 편두통 진단 기준에 의해 진단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 진단의 가치가 가장 높은 세 가지는 ① 광공포증, ② 심한 두통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장애, ③ 구역(nausea)이다. 이 세 가지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 편두통이라 할 수 있다.
  • 일반 두통과 다른 편두통의 증상
    일반 두통과 구분되는 증상으로 흔하지는 않지만 두통이 발생하기 전 전구증상이 동반될 수 있는데, 환자마다 전구 증상은 달라서 눈앞에서 아지랑이 피는 것이 보이는 시각 증상에서 마치 뇌경색과 같이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 편두통의 치료방법 및 예방법
    편두통의 예방법으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충분한 잠, 운동, 영양섭취이다. 그 외에 자신에게 발생하는 편두통의 악화 요인에 대해 스스로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악화 요인으로는 일반적인 증상(수면장애, 피곤, 스트레스) 외에 특정 음식, 커피와 같은 음료수, 약, 날씨, 월경 등이 있을 수 있다. 음식과 같이 피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고, 월경과 같은 피할 수 없는 요인이 있는 경우는 예방약을 복용함으로써 증상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그 자체가 만성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 밖에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평소에 치료해 두는 것이 좋다.
  • 편두통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두통의 고통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고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편두통으로 발전할 수 있어 치료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새만금 투자활성화 위해 한중 금융투자 전문가들 한자리에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