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다국적 기업 조세회피 행위'에 공동대응 강화

2015.02.17 기획재정부
목록

세원잠식ㆍ소득이전(BEPS) 방지 프로젝트에 대한 아시아ㆍ태평양지역 국가들의 이해를 높이고 향후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행위에 대한 공동 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아ㆍ태지역 BEPS 네트워크 회의가 지난 12~13일 OECD 한국 정책센터 주관으로 열렸다.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한국에서 열린 이번 회의에는 아ㆍ태지역 22개국 정부 대표 및 기업 관계자, 시민단체 등에서 100여명이 참석했다.

참가국들은 BEPS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과 함께, 과도한 차입을 통한 이자비용에 대해 공제를 제한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또 인터넷 기업 등이 매출발생 국가에서 조세를 납부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리적 고정 사업장에만 과세하는 현행 기준을 보완하는 방안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계열사 간 내부거래를 통한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해 다국적기업의 국가별ㆍ계열사별 과세정보를 제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이와 관련해 문창용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은 개회사에서 "BEP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ㆍ태지역 국가들이 BEPS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최경환 부총리가 지난해 9월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강조한 "국제 조세개혁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발언을 반영, OECD 측에서 2개의 별도 세션(Business 세션ㆍNGOs 세션)을 마련해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도 했다.

비즈니스 세션에서는 "세법 적용의 일관성과 명확성이 필요하다"는, NGO 세션에서는 "다자간 금융정보의 자동교환을 확대해 글로벌 조세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제시됐다.

정부는 이번 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토대로 BEPS 프로젝트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한편, 아ㆍ태지역 내 조세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문의. 기획재정부 세제실 국제조세제도과(044-215-4331),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조세본부(02-3702-7113)

“이 자료는 기획재정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주 차관, 주한 중남미 대사들에게 'IDB 연차총회' 협조 당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