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11월 항공여객 14.1% 증가로 가파른 성장세 지속

국내여객 15.0% 증가, 국제여객 13.7% 증가

2015.12.30 국토교통부
목록
‘15년 11월 항공운송시장은 운항증가와 함께 성장세를 확대하며 여객 및 화물운송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5년 11월 국내여객 및 국제여객이 전년 동월대비 각각 15.0%, 13.7% 증가했고 항공화물은 전년 동월대비 1.0% 증가했다고 밝혔다.
* 항공여객(만 명) : 530(’11.11) → 559(’12.11) → 590(’13.11) → 671(’14.11) → 766(’15.11)
* 항공화물(만 톤) : 29(’11.11) → 30(’12.11) → 31(’13.11) → 33(’14.11) → 33(’15.11)


국제선 여객은 저비용항공사 중심의 항공사 운항 확대와 외국인 한국방문 및 내국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성장세가 확대되면서 전년 동월대비 13.7% 증가한 522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351(’11.11) → 382(’12.11) → 400(’13.11) → 459(’14.11) → 522(’15.11)

지역별로는 대양주(29.1%), 일본(23.7%), 동남아(13.9%) 노선에서 실적이 10% 이상 크게 증가하였고, 유럽(8.3%), 중국(7.7%), 미주(7.2%) 노선도 8% 전후 증가율을 나타내며 전반적으로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공항별로는 국제선 여객 비율이 가장 높은 인천과 김해 공항이 각각 12.6%, 34.8% 증가하였고, 양양(151.2%), 대구(31.6%), 청주(24.4%) 공항이 운항 증가와 함께 전년 동월대비 여객 실적이 크게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의 운송실적은 전년 동월대비 10.3% 증가하였고, 국적 저비용항공사의 실적은 전년 동월대비 54.6% 증가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4.8%를 기록했다(대형국적사 48.5%, 저비용항공사 16.2%).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5.1(’11.11) → 8.4(’12.11) → 9.9(’13.11) → 12.0(’14.11) → 16.2(’15.11)

국내선 여객은 항공사 운항 및 탑승률 증가와 내외국인 제주여행 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15.0% 증가(212만 명→244만 명)했다.
* 국내여객(만 명) : 180(’11.11) → 177(’12.11) → 190(’13.11) → 212(’14.11) → 244(’15.11)

공항별로는 김해(26.7%)․제주(15.5%)․김포(10.5%) 등 주요공항의 실적이 증가하고, 운항증가와 함께 청주(51.3%)․울산(25.1%) 공항도 전년 동월대비 실적이 크게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의 국내여객 운송량은 106만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5.8% 증가하였고, 저비용항공사는 137만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23.2% 증가했으며 분담률은 56.3%를 기록했다. (대형국적사 43.7%, 저비용항공사 56.3%).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42.1(’11.11) → 45.9(’12.11) → 48.5(’13.11) → 52.5(’14.11) → 56.3(’15.11)

‘15년 11월 항공화물은 국제선 화물이 다소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대비 1.0% 증가한 33만 톤을 나타냈다.

국제 항공화물의 경우 대양주(12.7%), 중국(5.0%), 일본(4.8%) 노선중심 항공화물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대비 1.1% 증가한 31만 톤을 기록했다.
* 국제화물(만 톤) : 27(’11.11) → 28(’12.11) → 29(’13.11) → 30(’14.11) → 31(’15.11)

국토교통부는 항공시장이 11월 국제선 여객실적 증가가 가속화되며 성장확대 추세를 나타냈고 11월 이후에도 노선 및 운항 확대, 중국인을 비롯한 외국인 방한수요 증가와 함께 국내선 및 국제선 여객 실적 증가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항공화물은 올해 무선통신기기 및 반도체 장비 중심으로 항공 수출입 물동량이 증가하여 왔으나 최근 수출 둔화, 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국 경기 동향 등 국내외 경제 영향에 따른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붙임 : '15년 11월 항공운송동향 1부

“이 자료는 국토교통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14년 공간정보산업 매출, 전년 대비 10.4% 증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