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해외 상표출원 더 쉬워진다

2015.12.30 특허청
목록
해외 상표출원 더 쉬워진다
- 해외 특허청에서 인정하고 있는 상품영문명칭 제공서비스 개시 -

내년에는 국내뿐만 아니라 주요 해외 국가로의 상표등록출원이 쉬워질 전망이다.

특허청(청장 최동규)은 미국·중국·일본·유럽 상표청 등 주요 해외국가에서 인정하고 있는 상품명칭을 특허청 홈페이지에서 출원인이 상표출원단계에서부터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각 국가에서 인정하고 있는 상품명칭에 대한 정보를 2016년 1월 1일부터 제공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각 국가에서는 출원인의 상품의 권리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니스(NICE)국제상품분류기준*에 맞는 상품류 및 명칭을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니스(NICE)분류기준에 맞지 않는 상품명칭을 기재하는 경우 상품을 명확하게 정정하도록 요구함에 따라 출원인은 상품명칭 때문에 상표권 획득기간이 그만큼 지연되어 사업추진에 불편을 겪어왔다.
* 니스(NICE)국제상품분류기준 : ‘표장의 등록을 위한 상품·서비스업의 국제분류에 관한 니스협정(NICE Agreement)’에 따라 정해진 국제상품분류제도로서 우리나라는 1998.3.1.에 도입하였음.

그동안 특허청은 미국·중국·일본·유럽 상표청과 함께 상표분야 선진5개국 협의체(TM5)를 구성하여 5개 관청에서 모두 인정하는 ‘TM5 공통상품인정목록’ 구축사업의 성과물을 매년 국내상품목록에 반영하여 왔다. 2015년에는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국제사무국 및 유럽 상표청의 상품목록을「상품·서비스업 명칭 및 류 구분에 관한 고시」에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2016년 1월 1일자로 고시할 예정이다.

따라서 특허청에서 고시한 주요 국가의 영문상품명칭을 사용하여 해외 상표등록출원하는 경우 영문표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상품목록에 반영되어 있지 않는 상품의 상품 류 및 기재요령 등 추가적인 궁금한 사항에 대하여는 2016년 1월 1일자로 개통예정인 1:1메일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허청 최규완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주요 국가에서 인정하고 있는 영문명칭을 사용하여 출원하는 경우 상품심사기간이 단축되어 상표권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어 기업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설명하면서, “출원인의 편의를 위해 앞으로도 꾸준히 주요 국가에서 인정하고 있는 상품명칭을 확보해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 보도자료 1부.
문의 : 상표디자인심사국 상표심사정책과 사무관 김전식(042-481-5267)

“이 자료는 특허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농촌진흥청 2016년도 소관 예산 3.9% 증액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