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진도 명량해협 수중유물의 서울 나들이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특별전「명량鳴梁」서울 전시 / 4.15.~6.19. -

2016.04.11 문화재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직무대리 이정훈)는 오는 15일부터 6월 19일까지 ‘명량鳴梁 해저유물 특별전’을 서울대학교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지난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개최한 특별전 「명량鳴梁」의 서울 전시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된 진도 명량대첩로 수중조사에서 발굴된 다양한 유물을 선보이고, 우리나라 수중고고학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서울대학교박물관과 공동으로 기획하였다.
 
  진도 명량해협은 조류가 강한 험로지만 해상 지름길로서 예부터 수많은 선박이 왕래했던 곳이자, 1597년(선조 30)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이 전함 13척으로 일본 전함 133척을 격파하며 역사적인 승리를 거둔 장소다.
 
  ‘명량鳴梁 해저유물 특별전’에서는 명량대첩에서 사용했던 무기류 ‘소소승자총통(小小勝字銃筒)’과 ‘석환(石丸, 돌포탄)‘, 고려 절정기의 최고급 청자향로 등 200여 점의 유물을 전시한다.
 
  먼저 ▲ 1부 <서남해 지름길 ‘명량鳴梁’> ▲ 2부 <난행량의 흔적, 해난사고>에서는 남해와 서해를 잇는 바닷길인 명량해협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고, 해난사고와 임진왜란 격전의 순간을 찾아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수중고고학에 관한 내용을 소개한다.
 
 
  그리고 ▲ 3부 <2천 년 해로의 역사>는 명량해협에서 출수된 기원 전후의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 철기시대 토기)와 11~13세기 중국 송(宋)나라 동전 등을 통해 오랜 세월 동안 중요한 해로였던 명량해협을 보여준다. ▲ 4부 <명량 바닷길 도자기>는 2012년부터 3년간의 명량해협 발굴조사로 찾아낸 466점의 도자기 중에서 고려 시대 전반에 걸쳐 사용된 다양한 형태의 청자를 전시한다.
 
  끝으로 ▲ 5부 <명량대첩의 흔적>에서는 진도 명량대첩로에서 나온 ‘소소승자총통’을 비롯하여 쇠뇌(지지대를 갖춘 기계식 활)의 방아쇠인 노기(弩機)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전시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대학교박물관(☎02-880-8093)으로 문의하면 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진도 명량해협 수중발굴조사를 오는 4월 말 재개할 예정으로, 이번 특별전을 통해 명량해협이 품은 역사의 흔적을 수도권 지역에서도 보다 가깝게 접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소소승자총통>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 사회적기업 크라우드펀딩 참가자 모집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