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일상생활 속에 들어온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와 더불어 특허출원 급증 -
오전 업무를 끝낸 김대리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를 착용하고 ‘해수욕장’이라는 음성인식명령을 내리자 곧 가상의 협재 해수욕장이 눈앞에 펼쳐진다. 그러나 따가운 햇볕때문에 ‘폭포’를 외치자 곧이어 지리산 구룡폭포가 눈앞에 펼쳐지고 그는 시원한 폭포수를 감상하면서 휴식을 취한다.
오후가 되어 김대리가 거래처 방문을 위해 차량의 시동을 걸자, 네비게이션 화면에는 실제의 도로 화면과 함께 진행방향, 거리, 이동시간, 도착시간이 표시되고, 주변 차량의 주행 상태와 전방 신호등의 연동 상태, 사고나 고장 등으로 인한 도로의 상태가 차량 전면 유리창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가상의 공간 및 사물을 컴퓨터 그래픽 화면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현실 세계와 가상의 정보를 결합하여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 스마트폰 또는 상용화된 HMD와 결합하여 우리의 일상생활로 다가오고 있다.
특허청(청장 최동규)에 따르면 지난 10년(2005년~2014년)간의 AR에 대한 국내 특허출원을 분석한 결과, 2005년~2009년에는 연평균 52건(5년간 261건)이 출원되었고, 2010년~2014년에는 연평균 619건(5년간 3,094건)이 출원되어 특허출원량이 약 12배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붙임 1 참조)
AR이 구현되는 디바이스도 새로운 기술의 발달에 따라 변천되어 왔다. 2010년에는 AR 특허출원건의 약 71.6%(429건)가 이동단말기에서 AR을 구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및 강력한 하드웨어를 갖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3년에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AR이 주춤하고, 대신 상용화된 HMD, 구글글래스와 같은 안경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출시되면서 이들을 이용하는 AR에 대한 특허출원이 최대 35.9%(256건)까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붙임 2 참조)
☞ AR의 분야별 특허출원현황
현실세계와 결합하여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AR에 대한 특허출원은 교육(13.4%), 의료(11.6%), 문화(9.0%), 스포츠(8.0%), 방송 및 광고(8.6%) 분야에서 많았다. 반면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하는 가상세계와의 상호작용 및 몰입도가 중요한 VR에 대한 특허출원량은 산업(18.0%), 게임(17.0%), 군사(5.2%) 분야에서 AR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붙임 3 참조)
☞ AR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결합 동향
IoT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를 AR과 결합하는 기술은 2010년~2014년간 436건이 특허출원되었으며, 스마트카에 적용가능한 AR과 IoT의 결합에 대한 특허출원건은 148건(약 40%), 가정 내의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관련 특허출원건이 107건(24.5%), AR과 IoT를 제어하기 위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특허출원건이 39건(8.9%), 기타 142건(32.6%)이었다. (붙임 4 참조)
스마트카의 IoT는 자동차와 자동차가 상호 통신하는 V2V(Vehicle to Vehicle) 기능, 자동차가 신호등과 같은 주변 장치들과 통신하는 V2M(Vehicle to Machine) 기능을 AR과 결합하여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또는 전면의 투명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서 운전자에게 도로 및 교통 상황을 직관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특허청 김희태 가공시스템심사과장은 “VR 또는 AR 기술은 앞으로 IoT, AI, Big-Data 등과 결합하여 상황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적응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상호제공하는 차세대 플랫폼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 분야의 융합된 기술개발과 지식재산권 선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붙임 : 보도자료 1부.
문의 : 특허심사2국 가공시스템심사과 사무관 김종기(042-481-8301)
-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와 더불어 특허출원 급증 -
오전 업무를 끝낸 김대리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를 착용하고 ‘해수욕장’이라는 음성인식명령을 내리자 곧 가상의 협재 해수욕장이 눈앞에 펼쳐진다. 그러나 따가운 햇볕때문에 ‘폭포’를 외치자 곧이어 지리산 구룡폭포가 눈앞에 펼쳐지고 그는 시원한 폭포수를 감상하면서 휴식을 취한다.
오후가 되어 김대리가 거래처 방문을 위해 차량의 시동을 걸자, 네비게이션 화면에는 실제의 도로 화면과 함께 진행방향, 거리, 이동시간, 도착시간이 표시되고, 주변 차량의 주행 상태와 전방 신호등의 연동 상태, 사고나 고장 등으로 인한 도로의 상태가 차량 전면 유리창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가상의 공간 및 사물을 컴퓨터 그래픽 화면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현실 세계와 가상의 정보를 결합하여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 스마트폰 또는 상용화된 HMD와 결합하여 우리의 일상생활로 다가오고 있다.
특허청(청장 최동규)에 따르면 지난 10년(2005년~2014년)간의 AR에 대한 국내 특허출원을 분석한 결과, 2005년~2009년에는 연평균 52건(5년간 261건)이 출원되었고, 2010년~2014년에는 연평균 619건(5년간 3,094건)이 출원되어 특허출원량이 약 12배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붙임 1 참조)
AR이 구현되는 디바이스도 새로운 기술의 발달에 따라 변천되어 왔다. 2010년에는 AR 특허출원건의 약 71.6%(429건)가 이동단말기에서 AR을 구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및 강력한 하드웨어를 갖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3년에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AR이 주춤하고, 대신 상용화된 HMD, 구글글래스와 같은 안경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출시되면서 이들을 이용하는 AR에 대한 특허출원이 최대 35.9%(256건)까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붙임 2 참조)
☞ AR의 분야별 특허출원현황
현실세계와 결합하여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AR에 대한 특허출원은 교육(13.4%), 의료(11.6%), 문화(9.0%), 스포츠(8.0%), 방송 및 광고(8.6%) 분야에서 많았다. 반면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하는 가상세계와의 상호작용 및 몰입도가 중요한 VR에 대한 특허출원량은 산업(18.0%), 게임(17.0%), 군사(5.2%) 분야에서 AR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붙임 3 참조)
☞ AR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결합 동향
IoT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를 AR과 결합하는 기술은 2010년~2014년간 436건이 특허출원되었으며, 스마트카에 적용가능한 AR과 IoT의 결합에 대한 특허출원건은 148건(약 40%), 가정 내의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관련 특허출원건이 107건(24.5%), AR과 IoT를 제어하기 위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특허출원건이 39건(8.9%), 기타 142건(32.6%)이었다. (붙임 4 참조)
스마트카의 IoT는 자동차와 자동차가 상호 통신하는 V2V(Vehicle to Vehicle) 기능, 자동차가 신호등과 같은 주변 장치들과 통신하는 V2M(Vehicle to Machine) 기능을 AR과 결합하여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또는 전면의 투명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서 운전자에게 도로 및 교통 상황을 직관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특허청 김희태 가공시스템심사과장은 “VR 또는 AR 기술은 앞으로 IoT, AI, Big-Data 등과 결합하여 상황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적응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상호제공하는 차세대 플랫폼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 분야의 융합된 기술개발과 지식재산권 선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붙임 : 보도자료 1부.
문의 : 특허심사2국 가공시스템심사과 사무관 김종기(042-481-8301)
“이 자료는 특허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특허청, 특허법 개정 동향 안내를 위한 설명회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이 대통령, 국회 첫 시정연설…"추경, 경제위기 가뭄 해소 마중물"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공무원 처우, 이대로 좋은가?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직장인 점심비 지원 방안은 구체화된 바 없음
최신 뉴스
-
일회용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을까
- 하나원 한 눈에 보는 탈북민 자녀 양육지원 안내 자료 발간
-
영상
일하는 정부 #민생의_30일
- 29개 재난대응기관 실무자 총집결... "유기적 협력으로 국민안전 지킨다"
- 전파, 정보전달에서 에너지 혁신으로 거듭나다.
- 일상 속 '쉼표'가 필요할 때, 치유농장으로 오세요!
- 비용은 적게 효율은 높게, 노지 양분공급 시스템 개발
- 조달청 주간 평가 동향 (7월7일~7월11일)
- "차량 검사도 통과했는데 불법 개조라고?"… 오토바이 차주에 대한 과태료 처분 '부당'
- 조달청 용역분야(2025.07.07.~07.11.) 입찰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