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내 이웃 정신장애인을 위한 우리나라 최초의 정신장애 인식개선 캠페인 시작

2017.05.29 보건복지부
목록


viewArea"> 내 이웃 정신장애인을 위한
우리나라 최초의 정신장애 인식개선 캠페인 시작

보건복지부, ‘평범한’ 정신장애인들이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광고 제작해 송출(5.30)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5월 30일 시행되는 「정신건강복지법」의 취지와 내용을 홍보하고 정신질환자에 대한 국민의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정신질환 인식개선 광고를 제작해 30일부터 송출한다.
학생, 주부, 동네 아저씨, 옆집 할머니로 보이는 사람들이 하나 둘 분장을 하고 옷을 갈아입고 스튜디오로 들어온다.
그들은 차례로 “영화를 좋아해요”, “할머니와 같이 있을 때가 행복해요”, “남편이랑 여행갈 때”, “컴퓨터 게임”, “강아지”를 좋아한다며 자신의 기호를 밝힌다.
날마다 만나는 우리 이웃 중 하나로 보이는 그들에게는 평범하지 않은 경험이 있는데, 바로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것이다.
영상은 실제 질환자들이 나서서 정신질환자는 보통 사람들과 많이 다르다거나 무섭다는 잘못된 인식을 깨뜨린다.
광고 모델로 참여한 김태욱氏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참여했다.”며,
“정신장애인은 다른 사람과 다르다거나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사람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바로 잡혔으면 좋겠다.”고 촬영 소감을 밝혔다.
그는 아버지를 잃고 우울증을 앓게 된 과정과 그것을 극복하고 정신병원에서 일하게 된 사연 등을 글로 써서 “제1회 정신질환 인식개선을 위한 사회복귀 체험수기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광고 촬영에 참여한 제작진 중 한명인 이영선氏(여․33세)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촬영장에서 막상 이들을 만나보니 너무 평범하고 선량해 보여 깜짝 놀랐다.”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차전경 과장은 “누군가가 고혈압이나 당뇨병에 걸렸기 때문에 비난받아서는 안 되는 것처럼, 어느 누구도 정신질환에 걸렸다는 이유로 사회적으로 배제되어서는 안된다.”며,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에서 어울려 우리 이웃으로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뿐 아니라 사회 전반의 인식개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인식개선 캠페인 추진의 취지를 밝혔다.
이번에 제작된 영상은 「정신건강복지법」이 시행되는 5월 30일 SBS 8시뉴스 전(20시), JTBC 뉴스룸 전후(19시55, 21시30분) 등 6월~7월까지 TV, 영화관, SNS를 통해 송출될 예정이다.
<붙임> 정신질환인식개선 영상 주요 이미지
<별첨> 정신질환인식개선 캠페인 영상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110 정부민원안내콜센터 개소 10주년 맞아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