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한국 아태지역 교통정책 리더가 된다

조성균 국토교통부 과장, APEC 교통실무그룹 의장직 진출

2017.06.22 국토교통부
목록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외교부(장관 강경화)는 아태지역 내 교통문제의 해결 및 발전방향을 협의하는 경제협력기구(APEC) 교통실무그룹(TPTWG, Transportation Working Group)의 새로운 의장(Lead Shepherd, 임기 2년: ‘18∼’19년)으로 조성균 국토교통부 국제협력통상담당관이 최종 선출되었다고 밝혔다.

APEC 교통실무그룹(TPTWG)은 아태지역 경제협력기구(APEC) 내에서 교통정책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국·과장급 회의체로, 아태지역의 다양한 교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 APEC 교통장관 회의의 지시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실무기구로서 ‘91년 창설되었으며, 통상 연2회 개최한다.

현재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아태지역 주요 21개국이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06년부터 산하 7개의 서브 전문가 그룹 중 자동차 전문가 기준조화 그룹 의장을 수행하고 있다.

APEC 교통실무그룹(TPTWG) 의장은 아태지역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라는 APEC의 이상을 교통협력 차원에서 실현하는 중책을 맡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이번 의장직 선임은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 주요 이해당사국과의 기술·외교적 협력은 물론, 아세안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 교통·인프라 산업 진출을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판단된다.

이번에 한국 국적의 의장이 배출된 것을 계기로 국제무대에서 우리 교통정책의 위상이 올라가고 우리나라 교통산업이 해외에 진출하는데 이바지하는 등 다방면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조성균 국제협력통상담당관은 15년간의 공직생활 동안 토지, 교통, 도로, 자동차, 정부혁신, 지역정책 등 다방면의 국토교통정책을 담당해왔으며, 유시 버클리(UC Berkeley) 공학박사 학위 및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국 근무 경험이 있음
 
국토교통부와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APEC 교통실무그룹(TPTWG) 의장 당선은 아태지역 교통 분야에 있어 더 많은 한국의 기여를 원하는 다수 회원국들의 희망이 반영된 것으로서,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졌음은 물론, 앞으로 우리나라가 아태지역의 교통 분야 정책을 세우고 이를 추진할 때 보다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끝.

“이 자료는 국토교통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한-아세안 FTA 혜택 “형식오류도 꼼꼼한 확인필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