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DTC 유전자검사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시민·전문가 의견을 청취한다!

2018.04.29 보건복지부
목록
DTC 유전자검사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시민·전문가 의견을 청취한다!
- DTC 유전자 검사 제도 개선 공청회(4.30.) 개최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4월30일(월) ‘DTC 유전자 검사 제도개선에 관한 공청회’(이하 ‘공청회’)를 개최한다.
* ‘18.4.30. 14:00-17:00 서울 페럼타워 3층 페럼홀
보건복지부가 주최·주관하고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후원하는 이번 공청회에서는 “DTC 유전자 검사 제도개선”을 주제로 일반 소비자, 유전자검사산업계, 연구자, 학회, 의료계, 정부 등 각계의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청취한다.
DTC* 유전자 검사: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기관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검사를 의뢰받아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는 제도
* DTC : Direct To Consumer (소비자 직접 의뢰)
** 의료기관은 직접 또는 유전자검사기관에 의뢰를 통해서 유전자 검사 수행 중
그간 보건복지부는「DTC 유전자검사 제도개선 민관협의체」(이하 협의체)를 구성 (‘17.11.~18.4.)하여 DTC 유전자검사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 다각적인 전문가 검토를 해왔다.
공청회에서는 민관협의체 외부의 폭넓은 전문가 의견과 일반 시민 소비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사전세션에서 ‘DTC 제도개선 방안에 대한 민관협의체 외부의 제안‘을 주제로 발표한다.
먼저, 코리아메디케어 강양구 본부장은 DTC 유전자 검사제도 개선에 관한 폭넓은 사회적 공론화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조한다.
연세대학교 김소윤 교수는 DTC 유전자 검사에서의 소비자 보호, 개인정보보호 이슈에 대해 발표한다.
성신여대 김나경 교수는 유전자검사에서의 검사전 서면동의와 검사 결과의 전달에 대한 법적인 관점에 대해 설명한다.
이번 공청회의 본 세션은 DTC 유전자 검사 제도개선에 관한 민관협의체에서 정리된 의견을 토대로 진행된다.
먼저, 한경대 신동일 교수는 DTC 유전자 검사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과 검사기관 사후 관리강화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삼성서울병원 김종원 교수는 국내외 검사실 인증제 시행 현황과 DTC 유전자 검사실인증제 시행방안에 대한 협의체의 의견을 제안한다.
또한, 유전체기업협의회의 신동직 대표(메디젠 휴먼케어 대표)는 국내외 DTC 유전자검사 시장의 현황과 검사항목 소개 및 국내 유전자검사 시장 확대를 위한 규제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서울아산병원의 이종극 교수는 DTC 유전자 검사의 과학적 근거기준에 관련한 전문가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강도태 보건의료정책실장은 ‘DTC 유전자 검사 제도개선에 대한 공청회에서 논의된 소중한 의견은 향후 국가생명윤리 심의위원회 등의 논의에서 심도 있게 검토하여 정책수립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외교부 인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