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실험실, 창업을 연구합니다”다섯 번째 이야기
실험실 창업, 현장과 직접 소통한다!
- 「실험실 창업, 10번 통(通)&톡(talk)」 행사 개최 및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 사업(한국형 I-Corps) 본격 착수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대학‧출연(연) 실험실의 연구성과로 만들어진 신기술에 기반한 실험실 창업의 활성화를 위해, 현장과의 소통 노력 강화와 체계적인 지원 정책을 병행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o ‘실험실 창업’은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기술집약형 창업’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아이디어 창업’과는 구별되고, 일반 창업과 비교하여 볼 때 고용 창출 효과 및 기업 생존율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 우선, 과기정통부는 실험실 창업 확산을 위한 다섯 번째 행사로 실험실 창업 현장과 소통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실험실 창업, 10번 통(通)&톡(talk)’의 제1회 행사를 5월 17일(목)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개최했다.
o ‘실험실 창업, 10번 통(通)&톡(talk)은 실험실 창업이활발한 현장을 시리즈(10회) 형태로 찾아가는 행사로, 관련 플레이어*들이 현장을 방문하고, 실험실 창업팀의 사업 아이템을 청취하며, 창업가와 관련 주체의 토크콘서트를 통해 실험실 창업 정책의 발전 방향을 공유하는 순서로 구성된다.
* 실험실 창업이 성공하려면 ①연구자, ②소속기관(대학, 출연(연) 등), ③투자자(VC, 엔젤 등), ④지원기관 등 다양한 플레이어간의 호흡이 중요
<과기정통부 실험실 창업 관련 행사 시리즈> 1회 : 나노분야 대학생 BI(Business Idea) Contest (‘17.12.) 2회 : 실험실 일자리 대학생 창업 활성화 토크콘서트 (‘17.12.) 3회 : 실험실 창업 데모데이 (‘18.2.) 4회 : 바이오분야 대학생 BI Contest (‘18.4.) 5회 : 실험실 창업, 10번 통(通)&톡(talk) - 미래형 자동차 (‘18.5.) 6회 : 실험실 창업, 10번 통(通)&톡(talk) -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18.6. 예정) |
* (분야 선정 배경)자동차 부품산업이 경제규모의 32%를 차지하는 대구시는, 미래형자동차를 5대 신성장동력산업 (미래형자동차·물·의료·에너지·IoT) 중 하나로 육성 중이며, DGIST의 연구소기업 12개사 중 4개사가 미래형 자동차 관련 기업에 해당함
o 이번 행사에서는 DGIST 학생이 창업한 우수 실험실창업기업 2개 팀이 대구 지역의 기업가와 벤처 캐피탈, 엔젤 투자가, 미래기술지주 담당자 등에게 직접 창업 아이템을 소개하는 사업설명회(IR)이 열렸다.
o 또한, ‘미래형 자동차, 실험실 창업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미래형자동차 분야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 연구소, 실험실 창업가로 구성된 5인의 패널이 창업 과정의 이야기, 애로 사항을 나누고 향후 성장전략을 모색하는 토크콘서트가 개최되었다.
□ ‘실험실 창업, 10번 통(通)&톡(talk)’은 실험실 창업 플레이어가 직접 찾아가 다양한 분야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고 실질적인 지원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앞으로 매월 지역을 순회하며 개최될 예정이다.
※ (예시) 광주 GIST – 광기반 융·복합 산업,대전 대덕특구 – 연구소기업 투자 IR, 서울–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연계 창업친화적 학사제도
□ 또한, 과기정통부는 실험실 창업 붐 조성을 위한 폭넓은 소통 노력과 더불어 실험실 창업에 도전하고자 하는 연구자에 대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그 중 대표적인 사업으로, 과기정통부는 대학과 출연(연) 소속 학생 및 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창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2018년도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한국형 I-Corps)’에 본격 착수한다.
o 작년에는 51개의 예비창업팀(총 141명)이 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18.5월 현재 쿼트랩스(KAIST), SP2 Robotics(전남대) 등 22개 팀이 실제 창업에 성공하였다.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한국형 아이코어) 개요> (목적) 대학·출연(연) 보유 기술기반 ‘실험실 창업’ (대상) 대학·출연(연) 학생(석박사생 등) 또는 연구원으로 구성된 탐색팀 (프로그램 내용) 국내(4주) 및 미국(3주)에서 창업교육 제공, 시장탐색(수요자 인터뷰 등) 기회 제공(국내외), 시제품 제작, 창업 활동비 지급 등 (탐색팀 규모) ‘18년 60팀, ‘17년 51팀(22팀 창업), ’16년 39팀(21팀 창업) 등
|
□ 올해는 108개의 팀이 과제를 신청하여최종 60개의 창업탐색팀을 선정하였으며, 예년에 비해다양한 대학에서 보다 많은 창업팀들이 지원을 신청하여 대학원생 및 연구원들의 실험실창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지원 신청 창업팀 : (’17년) 20개 대학 93개팀 → (’18년) 33개 대학 108개팀
o 최종 선정된 예비창업팀은 바이오(신장결석 로봇수술, 신체기능 평가기구, 성장인자 함유 차세대 이식재), 딥러닝(시각장애인용 전자책, 아토피 대비 가려움 관리 시스템) 나노(무색소 컬러 콘택트 렌즈)등 신기술을 활용해 국민생활에 직접 도움을 주는 창업아이템을 제안하여 평가위원들의 기대를 한껏 높였다.
o 아울러, 고려대·성균관대(수도권), KAIST(충청, 호남), 포항공대(경상, 강원) 등 4개 대학을 권역별 실험실창업혁신단으로 선정하여 해당 지역 내 창업탐색팀 발굴, 보육, 멘토링 등 창업 과정 전반에 대한 지원을 전담하게 하고, 더 나아가 실험실 창업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 앞으로 창업탐색팀은 선배 창업가와의 만남과 팀간 네트워킹으로 구성된 부트캠프(Boot Camp)*를 시작으로 미국 NSF와 연계한 현지 수요 고객층 발굴(Customer Discovery)을 중심으로 한 국내외 실전 창업 교육, 전문가와의 일대일 멘토링 및 시제품 제작 지원을 통해 창업 계획을 확정하는 본격 창업레이스에 돌입한다.
* 부트캠프 : ’18.5.18(금) / 서울 상암누리꿈스퀘어
□ 과기정통부 정병선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현장과의 소통을 통해 실험실 창업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대학·출연(연) 연구원들의 도전이 성공적인 창업의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정책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DNA(Data-Network-AI) 기반 구축과 융합 확산으로 혁신성장 선도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2명 공정 채용…학력·경력·가족관계 무관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