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우리바다의 모든 해양수산생물 한눈에 본다

2019.01.07 해양수산부
목록
우리바다의 모든 해양수산생물 한눈에 본다
- 해수부, 2018 국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 발간... 총 13,356종 수록 -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우리바다에 서식하는 모든 해양수산생물의 정보를 담은 ‘2018 국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을 발간하였다.
 
최근 나고야의정서* 발효 등 해양수산생명자원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규제가 강화되고,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해양수산생명자원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매년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모든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정보를 담은 ‘국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을 발간하고 있다.
 
* 외국의 유전자원 이용 시 자원 제공국에 사전 승인을 받고 이용으로부터 발생 하는 이익도 공유할 것을 규정한 국제 협약(2014. 10. 발효)
 
2017년 목록집에 수록된 해양수산생물종은 총 13,089종이었으나, 이번 ‘2018 국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에는 새롭게 발표된 논문 등을 토대로 신종과 미기록종을 갱신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분류체계 및 학명을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13,356종의 해양수산생물 정보를 수록하였다.
 
이 목록집은 분류군별 검색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고려하여 총 6권*으로 나누어 제작하고 생물분류체계**에 따라 목록을 정리하였다.


또한, 학명 색인(알파벳순)과 국명 색인(가나다순)을 부록으로 첨부하여 이용자가 더욱 쉽고 빠르게 원하는 해양수산생물종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7,621종의 물자원에 대해서는 보유하고 있는 기관을 로마자***로 별도 표기하였다.
 
* ① 해양척추동물 ② 해양무척추동물1 ③ 해양무척추동물2 ④ 해양원생생물 ⑤ 해양식물 ⑥ 해양미생물
 
** 분류체계 상위부터 계-문-강-목-과-속-종 순으로 정리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부는 이번에 발간한 ‘2018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을 국회도서관과 관련 대학에 비치하고,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www.mbris.kr)에도 게시하여 누구나 쉽게 열람하도록 할 계획이다.
 
유은원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과장은 “이번 목록집 발간과 더불어, 앞으로도 해양수산생명자원에 대한 우리나라의 주권을 확립하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해수부, 해양수산 중소·벤처기업에 컨설팅 비용 지원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