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외교부 장관, 칼둔 아부다비 행정청장 면담결과

2019.02.19 외교부
목록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19.(화) 16:30-17:00간 외교부 청사에서 「칼둔 칼리파 알-무바라크(Khaldoon Khalifa Al-Mubarak)」 UAE 아부다비 행정청장(Chairman of the Executive Affairs Authority of Abu Dhabi)을 면담하였다.


  ※ 칼둔 아부다비 행정청장(76년생)은 모하메드 왕세제의 최측근 인사 중 한명으로 아부다비 집행이사회(Executive Council) 의장을 겸직하고 있는 모하메드 왕세제에게 아부다비 발전과 관련한 전략적 조언 제공 등을 담당하고 있는 아부다비 행정청 의장직을 2006년부터 수임 중 / 에미리트원자력공사(ENEC) 이사회 회장직도 겸직 중


□ 강 장관은 우선 지난해 우리 정상의 UAE 방문에 대한 답방으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나흐얀 (Mohammed bin Zayed Al-Nahyan)」아부다비 왕세제 겸 UAE 통합군 부총사령관의 2월 말 방한을 환영하였다.


  o 또한, 강 장관은 이번 방한을 통해 2018.3월 격상된 한-UAE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기초하여, 양국간 협력을 기존 에너지 및 건설․인프라 중심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 맞는 고부가가치 분야로 더욱 확대해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 칼둔 청장은 한국 외교부가 여러 관계부처와의 협조 하에 모하메드 왕세제 방한을 최대한 성의껏 준비해 주고 있는데 대해 사의를 표명하였다.


  o 또한, UAE측으로서도 이번 왕세제 방한이 양 정상간 신의와 우정의 바탕 하에 100년을 내다보는 형제와 같은 관계로 발전해 나갈 것임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


□ 이번에 강 장관이 칼둔 행정청장을 면담하고, 지난해 3월 양국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이후의 양국 관계 발전 현황을 되짚어 보면서 협력 사업 추진 현황을 최종 점검한바, 이를 통해 내주로 예정된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자 방한의 성과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칼둔 아부다비 행정청장은 강 장관과의 면담에 앞서, 임종석 UAE 특임 특별보좌관과 오찬을 겸한 협의를 갖고, 양국간 특별 동반자 관계 지속 발전 방안 및 모하메드 왕세제 방한 준비 등에 논의하였다.


붙임: 1. 면담 사진 2. 칼둔 청장 인적사항 3. UAE 약황 /끝/

“이 자료는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성평등한 제작 환경의 자율적 조성을 위한 제안에 대해 추가 설명드립니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