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신북방정책 이해하기' 과정 운영

2019.05.21 행정안전부
목록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신북방정책 이해하기' 과정 운영
- 평화·번영의 한반도와 新경제지도 완성을 위한 북방국가로의 한 걸음 -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원장 박재민, 이하 자치인재원)에서는 정부의 국정과제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을 위한 세부실천 목표인 신북방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중앙·지방 공무원, 공사·공단 직원 등 24개 기관에서 참여하는 '신북방정책 이해하기' 과정(5. 22.∼24.)을 신설·운영한다.
※ 신북방정책 대상국(14개국) :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국 동북 3성, 몽골,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벨라루스, 타지키스탄,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신북방정책은 평화와 번영의 북방경제공동체 시대를 구현하기 위한 유라시아 지역과의 연계 증진을 내용으로 하는 주요 국정과제다.
정부는 신북방정책 대상지역과 경제·사회·문화 분야 등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담기구로서 ‘북방경제협력위원회’를 설치하고, 위원회는 대상국들과의 정책조율과 대외 외교협력 기반을 조성하는 등 북방경제권 진출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순방도, 우리 기업의 중앙아시아 진출 확대 등 공동 번영을 위한 기반 조성과, 이들 3국과의 전통적인 우호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다지는 계기에서 추진된 바 있다.

이에, 자치인재원에서는 '신북방정책 이해하기' 과정을 운영하여, 성공적인 신북방정책 추진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중앙·지방 공무원의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교육과정은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몽골 등 중점 협력국가별 추진전략 및 신북방정책 관련 현황과 추진동향 등에 관한 전문가 강의로 기획되었으며,
중앙아시아 최대의 경제력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카자흐스탄과의 교류 동향과 투자유치 전략에 관한 KOTRA 전문위원의 강의와 더불어 중앙아시아의 역사·문화, 시베리아 지역의 항일 독립운동에 대한 교양 강의도 포함하고 있다.

박재민 자치인재원장은 “이번 과정을 통해 유라시아 대륙 내 지역연계성에 관한 이해를 증진하고 신북방정책 추진전략을 습득하여,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와 新경제지도 완성을 위해 북방국가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담당 : 국제교육협력과 안병주(063-907-5062)

“이 자료는 행정안전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자동차세 등 상습 체납차량 일제 단속 실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