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국내 바이오자원의 품질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표준 도입

2019.06.18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국내 바이오자원의 품질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표준 도입
 
- 국가기술표준원, 18일「바이오자원은행 운영 국제포럼」개최 -
 
혁신성장 동력인 바이오헬스 산업의 연구개발에 필수적인 생체조직, 세포, 유전체 등 바이오자원과 관련정보의 품질을 높이고 체계적으로 수집․보존․분양될 수 있도록 바이오자원은행 운영 선진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표준 도입이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바이오자원은행의 운영체계와 관련한 국제표준 도입과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8일(화) 관련 부처 및 바이오자원은행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자원은행 운영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 「바이오자원 은행 운영 국제포럼」 개요 >
 
 
 
일시/장소 : ‘19.6.18.(화) 13:00∼17:00 / 노보텔 앰버서더 서울강남(샴페인B홀)
 
주최/주관 : 국가기술표준원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참 석 자 : 관련 부처 및 바이오자원은행 관계자 100여명
 
바이오자원은행은 산업과 연구개발에 활용되는 바이오자원*과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보존·분양하는 기관으로, 국내에는 약 280여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 미생물, 식물, 동물, 인체 등 살아있는 실물과 이들의 조직, 세포, 유전체 등
** 국공립기관․지자체 130여개소, 대학․민간 등 150여개소
국내 바이오자원은행이 보유한 생물자원의 양은 해외 주요국과 비교할 때 결코 뒤지지 않는 수준이지만, 기관별로 마련한 상이한 지침과 규정에 따라 운영이 되고 있어 이용자들이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한편, 지난 해 바이오자원은행 운영에 관한 국제표준(ISO 20387)제정됨에 따라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 이를 도입하여, 바이오자원과 이와 관련한 정보를 국제표준에 따라 운영․관리함으로서 높은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국제표준을 금년 말까지 한국산업규격(KS)으로 부합하여 도입함으로서 바이오자원과 관련 정보의 품질경쟁력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번, 포럼 참가자들은 국내 바이오자원은행 운영 현황, 국제표준 도입의 필요성 등을 공유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는 바이오자원은행 운영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한 국제표준기구 기술위원회(ISO TC 276) 조르주 다거(Georges Dagher) 의장이 국제표준의 주요 내용과 활용 방안을 직접 설명했다.
 
□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국제표준에 따른 운영체계를 도입하면 국제적 수준의 고품질 바이오자원을 국내 업계와 연구진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술혁신과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산업의 난제 해결에 도전하는 혁신적 과제 공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