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국제특허출원 활발
- 최근 5년간(2014~2018) 특허청에 접수된 국제특허출원 동향 분석 -
□ 특허청(청장 박원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특허청에 접수된 PCT 국제특허출원은 2014년 13,138건에서 연평균 6.6%의 증가율을 보이며 2018년 16,991건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붙임 1 참조]
ㅇ 이러한 국제특허출원의 급성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지식재산권이 점차 중요해짐에 따라 국내 대기업, 중소기업, 대학 등이 해외출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 출원인 유형별로 살펴보면, 먼저 대기업은 출원건수가 최근 5년간 연평균 8.6% 급증하면서 전체의 40.3%를 차지하여 대기업이 국제특허출원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 2 참조] 같은 기간 대기업의 국내 특허출원은 2014년 45,986건에서 2018년 35,240건으로 연평균 6.4% 감소했지만 최근 5년간 특허출원 1,047,583건 중 194,463건으로 전체의 18.5%로 나타나, 대기업의 특허전략은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려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ㅇ 중소기업, 개인은 전체 24.0%, 13.4%의 점유율로 나타났고, 이들의 출원은 연평균 6.0%, 1.2% 증가하였다. 이는 대기업 중심으로 발생했던 해외 특허분쟁이 최근 중소기업으로 점차 확대됨에 따라 중소기업과 개인도 해외 진출시 특허권 확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ㅇ 대학은 최근 5년간 전체의 8.4%만을 차지하였으나, 출원건수가 연평균 9.3% 증가하여 대학들도 해외출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다출원인을 보면, 대기업으로는 삼성전자(9,232건), 엘지전자(8,527건), 엘지화학(4,581건) 순이며, 이들 기업이 전체의 29.4%로 국제특허출원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엘지화학의 경우, 출원 건수가 대기업 연평균 증가율(8.6%)보다 훨씬 높은 14.3%로 급증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붙임 3 참조]
ㅇ 한편, 중소기업으로는 아모그린텍(262건), 대학으로는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570건)이 가장 많이 출원했다. [붙임 4 참조]
□ 주요 기술분야별로 살펴보면, 최근 5년간 디지털통신(건수: 8,650건, 점유율: 11.4%), 전기기계(6,407건, 8.4%), 컴퓨터기술(5,098건, 6.7%), 의료기술(4,176건, 5.5%) 순으로 나타나 이들 분야에서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특허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보였다. [붙임 5 참조]
□ 특허청 황은택 국제특허출원심사2팀장은 “최근 해외출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앞으로도 국제특허출원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서 특허권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국제특허출원 심사 서비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최근 5년간(2014~2018) 특허청에 접수된 국제특허출원 동향 분석 -
□ 특허청(청장 박원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특허청에 접수된 PCT 국제특허출원은 2014년 13,138건에서 연평균 6.6%의 증가율을 보이며 2018년 16,991건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붙임 1 참조]
ㅇ 이러한 국제특허출원의 급성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지식재산권이 점차 중요해짐에 따라 국내 대기업, 중소기업, 대학 등이 해외출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 출원인 유형별로 살펴보면, 먼저 대기업은 출원건수가 최근 5년간 연평균 8.6% 급증하면서 전체의 40.3%를 차지하여 대기업이 국제특허출원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 2 참조] 같은 기간 대기업의 국내 특허출원은 2014년 45,986건에서 2018년 35,240건으로 연평균 6.4% 감소했지만 최근 5년간 특허출원 1,047,583건 중 194,463건으로 전체의 18.5%로 나타나, 대기업의 특허전략은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려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ㅇ 중소기업, 개인은 전체 24.0%, 13.4%의 점유율로 나타났고, 이들의 출원은 연평균 6.0%, 1.2% 증가하였다. 이는 대기업 중심으로 발생했던 해외 특허분쟁이 최근 중소기업으로 점차 확대됨에 따라 중소기업과 개인도 해외 진출시 특허권 확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ㅇ 대학은 최근 5년간 전체의 8.4%만을 차지하였으나, 출원건수가 연평균 9.3% 증가하여 대학들도 해외출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다출원인을 보면, 대기업으로는 삼성전자(9,232건), 엘지전자(8,527건), 엘지화학(4,581건) 순이며, 이들 기업이 전체의 29.4%로 국제특허출원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엘지화학의 경우, 출원 건수가 대기업 연평균 증가율(8.6%)보다 훨씬 높은 14.3%로 급증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붙임 3 참조]
ㅇ 한편, 중소기업으로는 아모그린텍(262건), 대학으로는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570건)이 가장 많이 출원했다. [붙임 4 참조]
□ 주요 기술분야별로 살펴보면, 최근 5년간 디지털통신(건수: 8,650건, 점유율: 11.4%), 전기기계(6,407건, 8.4%), 컴퓨터기술(5,098건, 6.7%), 의료기술(4,176건, 5.5%) 순으로 나타나 이들 분야에서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특허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보였다. [붙임 5 참조]
□ 특허청 황은택 국제특허출원심사2팀장은 “최근 해외출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앞으로도 국제특허출원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서 특허권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국제특허출원 심사 서비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특허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구미국유림관리소,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특별단속주간 운영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미성년 자녀에 월 20만 원 지원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
-
해수부, 부산 연내 이전 총력…'추진기획단'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