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산림청, 산림일자리에 대한 청년들의 생각 듣는다

2019.08.26 산림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 917일 진주에서 청문청답개최... 내달 6일까지 사전 접수 -


□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오는 9월 17일 경남 진주시 경남과학기술대학교에서 청년이 산림일자리에 관한 궁금증을 묻고, 청장이 답하는 ‘제3회 청문청답(靑問廳答)’을 개최한다.
 
○ 청문청답은 산림청장이 산림일자리를 소개하고 청년들과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작년부터 진행된 행사로 전국 4개 권역에서 열린다. 지난 상반기 2회의 청문청답 행사에 600명이 참석하는 등 청년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 1회(대전, 4.9), 2회(서울, 5.23), 3회(진주, 9.17), 4회(광주 예정)
** 2018년 청문청답 참여인원(총 4회) : 821명
 
□ 이번 행사는 1부 산림청장 토크콘서트와 2부 공공기관 채용설명회, 취·창업 상담부스로 구성됐다.
 
○ 토크콘서트에서는 김재현 청장이 직접 산림일자리 정책을 소개하고, 청년들이 바라는 산림일자리와 산림청이 바라는 청년인재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 또한 공공기관 채용설명회에서는 산림청 유관기관인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수목원관리원, 산림조합중앙회가 참여해 하반기 채용계획 등을 공유하고 1:1 맞춤형 상담도 진행한다.
 
□ 이번 행사는 산림일자리에 관심 있는 대학생과 취업?창업을 준비 중인 청년이라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으며, 사전 신청은 9월 6일까지 산림청 누리집(www.forest.go.kr)에서 하면 된다.
 
○ 참석자들에게는 산림일자리 관련 책자(2권)와 테라리움 등 푸짐한 선물이 제공된다.
 
□ 김재현 청장은 “산림청은 자원중심에서 사람중심으로 산림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청년들이 산림일자리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산림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해명]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 건에 대해...(경향신문, 8월 26일자 보도 관련)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