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020년 외교부 정부 예산안 제출

2019.08.29 외교부
목록
□ 외교부의 2020년 예산안은 전년(2조4,500억원) 대비 11.5% 증가한 2조7,328억원으로 편성(총지출 기준)되어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ㅇ 내년 외교부의 예산안 주요 특징은 대일외교 및 미중 관계 대응 강화 등 국가별 외교전략 수립을 위한 예산을 확대하고, 국제 사회의 우리 외교정책 이해를 위한 정책공공외교를 적극 지원하며, 영사조력법 시행 대비 재외국민 보호 및 영사서비스를 확충하면서, 외교 다변화를 위한 신남방․신북방정책의 내실화 추진이다.
ㅇ 국제기구 분담금 및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는 금년의 1조 2,617억원보다 1,636억원이 증가한 1조 4,253억원 수준으로 편성하여 우리의 경제력 신장에 걸맞는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책임감 있는 국가이미지를 높이고자 하였다.
 
□ 대일외교 강화 및 미중 관계 대응 등 국가별 외교전략 수립 예산을 확대하여 국제정세에 적극 대응한다.
ㅇ 대일 외교 강화를 위해 우리 정부 입장의 아웃리치 및 일본 주재공관의 외교활동을 확대하며, 미중 관계 등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체계적으로 분석‧예측하기 위해 범정부·민관 상시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 한·일 신시대 복합네트워크 구축 : (’19) 12 → (’20안) 51억원(330.0%↑)
미중관계 대응 등 국별 외교정책 전략수립(신규) : (’20안) 17억원(순증)
 
□ 외교 다변화를 위해 신남방, 신북방 및 아중동 국가와의 교류협력을 추진한다.
ㅇ 아세안 10개국과의 정상외교 및 2019.11월 제3차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성과 후속 조치 등을 통해 신남방지역과의 실질협력기반을 강화하고 아중동지역 우리 기업진출 지원 및 한·아프리카재단의 사업 확충 등을 통해 아중동 국가와의 외교 저변도 대폭 확대하며, 신북방지역 국가와의 교류협력 내실화․다변화를 위한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 아세안 및 동남아지역 국가와의 교류협력강화 : (’19) 16 → (’20안) 18억원(16.1%↑)
아중동지역국가와의 교류협력강화 : (’19) 50 → (’20안) 61억원(22.7%↑)
신북방정책 추진 : (’19) 4 → (’20안) 5억원(38.2%↑)
 
□ 재외국민보호 기반을 확충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영사조력을 제공한다.
ㅇ 카카오톡 등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일반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저렴하게 영사콜센터 상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해외에서 예상치 못한 사건사고 및 재난 등에 직면한 우리 국민들에게 보다 나은 영사조력을 제공하기 위해 예산 및 인력을 확대하는 등 2021.1월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 시행 준비에 만전을 기해 나갈 예정이다.
 
※ 영사콜센터 운영 : (’19) 33 → (’20안) 95억원(184.5%↑)
사건사고 대응 : (’19) 69 → (’20안) 79억원(14.0%↑)
 
□ 우리의 주요 외교정책에 대한 우호적 국제 여론 조성과 공감대 확산을 위한 정책 공공외교를 강화해 나간다.
 
ㅇ 급변하는 외교 환경을 감안하여 미․중․일․러 등 한반도 정세에 영향력이 큰 4강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정책공공외교를 수행하고, 주요외교 이슈의 다양화·복잡화 추세를 감안, 우리 입장에 대한 국내외 여론 주도층 대상으로 정책설명을 확대할 예정이다.
 
※ 정책 공공외교 확대 : (’19) 27 → (’20안) 72억원(166.7%↑)
 
□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도 제고 및 역할강화를 위한 지원을 강화한다.
 
ㅇ 국제사회에서의 책임성 및 역할강화를 위해 국제기구 분담금을 내실화하고 공적개발원조를 확대하여 국격 제고에 이바지할 것이다.
 
※ 국제기구분담금 : (’19) 4,545 → (’20안) 5,075억원(11.6%↑)
공적개발원조(ODA) : (’19) 8,072 → (’20안) 9,179억원(13.7%↑)
 
□ 최근 외교현안 증가 등 외교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20년 예산안을 ‘19년 대비 11.5% 증가한 수준으로 편성한 것은 우리 정부의 외교 역량 강화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 ‘19년 예산은 전년대비 3.9% 증가
 
< 참고 > 외교부 2020년 예산안 : 2조 7,328억원 (총지출 기준)
(단위 : 억원)
 2019년2020년증감
 %
【 총 계 】24,50027,3282,82811.5
인건비3,2233,5273049.4
기본경비2,2522,321693.1
국제기구분담금4,5455,07553011.6
ODA8,0729,1791,10713.7
주요사업비5,3805,8945149.5
기금1,0271,33330629.7
/끝/    
      
     

“이 자료는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가보훈처, 2020년도 예산안 5조 6,211억 원 편성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