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수출 467.8억달러(△14.7%), 수입 413.9억달러(△14.6%) |
1. 10월 수출입 동향 개요
□ (실적) 10월 전체 수출은 △14.7% 감소한 467.8억달러, 수입은 △14.6% 감소한 413.9억달러, 무역수지는 53.9억달러로 93개월 연속 흑자
□ (부진 요인) 미중 분쟁 등 대외 불확실성 지속, 반도체 업황 부진 및 유가 하락 등 글로벌 경기 둔화, 작년 10월 수출의 기저효과 등으로 10월 수출 감소
ㅇ 다만, 일본 수출 규제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으로 보임
< 10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백만달러, %) |
구 분 |
2018년 |
2019년 |
10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수 출 |
54,860(22.5) |
46,084(△11.1) |
44,078(△13.9) |
44,721(△11.7) |
46,784(△14.7) |
|
(일평균) |
2,385(△4.1) |
1,843(△14.6) |
1,876(△12.0) |
2,182(△16.0) |
2,034(△14.7) |
수 입 |
48,481(28.1) |
43,737(△2.6) |
42,469(△4.3) |
38,740(△5.6) |
41,391(△14.6) |
무역수지 |
6,380 |
2,347 |
1,609 |
5,982 |
5,393 |
< 수출증감률 추이(%) > |
|
< 수출액 증감 추이(억달러) > |
|
|
□ 주요 특징
10월 수출은 ’18.10월 기저효과 영향*으로 감소하였으나, 수출액 467.8억달러는 올해 3번째로 높은 수준
* ’18.10월 수출액은 548.6억달러로 ‘56년 무역통계 작성 이래 역대 수출 실적 2위이며, 기계(49.9억달러)・석유화학(44.6억달러) 역대 최대 수출, 반도체(115.8억달러)수출 역대 2위
ㅇ 11월부터 감소폭이 점차 개선되는 흐름을 보일것으로 예상
ㅇ ①반도체 가격 회복, ②미중 무역분쟁의 1단계 협상 타결 가능성*, ③선박・車・석유品 등 수출 증가로 내년 1분기 수출은 플러스 전환 전망
* 10.15일 추가관세 부과 연기는 ‘20.1Q, 2Q 실질 GDP 성장률의 0.1~0.2%p 상승 기대(UBS)
** 선박(내년 1분기 인도선 증가), 車(친환경차・SUV 신차출시), 석유品(IMO 2020 발효)
세계 경기를 이끌고 있는 미국・중국・독일의 경기 부진에 따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10대 수출국도 동반 감소 추세
ㅇ 무역 긴장 고조, 세계 경제 둔화, 노딜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 등 영향으로 8월 수출은 주요 10개국 모두 마이너스
* 제조업 PMI 지수(9월) : (독일)41.7, (일본)48.9, (이탈리아)47.8, (영국)48.3, (홍콩)41.5
< 수출 상위 10개국 수출 증감률 (’19.1∼8월, WTO, 10.31일 기준) >
구 분 |
중 국 |
미 국 |
독 일 |
일 본 |
네덜란드 |
한 국 |
프랑스 |
이태리 |
홍 콩 |
영 국 |
10월 |
15.6 |
7.9 |
6.0 |
8.4 |
11.3 |
22.5 |
9.7 |
7.2 |
14.1 |
10.3 |
11월 |
5.4 |
3.7 |
△3.3 |
△0.2 |
1.4 |
3.8 |
△0.6 |
△2.2 |
△1.1 |
△0.03 |
12월 |
△4.5 |
△0.3 |
△8.2 |
△3.2 |
△3.9 |
△1.3 |
△4.7 |
△6.4 |
△5.8 |
△14.0 |
1월 |
9.2 |
3.7 |
△5.0 |
△6.8 |
△4.7 |
△6.2 |
△1.4 |
△3.6 |
△1.7 |
△8.1 |
2월 |
△20.8 |
1.9 |
△4.5 |
△3.4 |
△1.4 |
△11.3 |
△1.4 |
△5.0 |
△6.6 |
△0.8 |
3월 |
13.8 |
△1.1 |
△6.8 |
△6.3 |
△1.5 |
△8.4 |
△5.7 |
△8.4 |
△3.9 |
1.3 |
4월 |
△2.8 |
△2.1 |
△8.8 |
△5.9 |
△0.3 |
△2.1 |
△2.1 |
△3.1 |
△4.1 |
△1.8 |
5월 |
1.0 |
△2.1 |
△0.9 |
△9.4 |
△1.2 |
△9.8 |
9.2 |
2.3 |
△6.1 |
△1.1 |
6월 |
△1.3 |
△5.0 |
△11.2 |
△4.9 |
△4.7 |
△13.8 |
△7.0 |
△6.7 |
△15.2 |
△10.4 |
7월 |
3.3 |
△0.6 |
△0.5 |
1.4 |
△0.2 |
△11.1 |
0.4 |
2.1 |
△9.4 |
△11.2 |
8월 |
△1.0 |
△1.0 |
△7.5 |
△4.0 |
△7.7 |
△13.9 |
△2.9 |
△7.0 |
△8.6 |
△16.9 |
* 중국(해관총서) : 9월(△3.2), 일본(재무성) : 9월(△5.2)
ㅇ 다만, 우리 수출 감소폭이 더 큰 이유는 對中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반도체 등 특정 품목 의존도가 높은데 기인
* ‘18년 對中 수출 의존도(對中/對세계수출, %) : (韓)26.8, (日)19.5, (獨)7.1,(佛)4.2, (伊)2.8
* 對中 수출 증감률(%) : (’19.1)△19.0→(2)△17.3→(3)△15.7→(4)△4.6→(5)△20.5→(6)△24.5→(7)△16.6→(8)△21.5→(9)△21.8→(10)△16.9
10월 수출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 누적 수출 물량도 견조한 증가세(+0.6)
ㅇ (10월) 반도체(△32.1%)・석유화학(△22.6%)은 단가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에도 불구, 물량은 견조한 수준이며 20대 품목 중 10개 물량* 증가
* 10월 물량 증가율(%):반도체(16.0), 선박(41.5), 車(3.2), 철강(2.1), 가전(1.6), 바이오헬스(5.4), 화장품(8.9), 로봇(37.1), 플라스틱(5.9) 등 10개(25일 기준)
ㅇ (1∼10월) 물량은 0.5% 증가, 반도체・자동차 등 20대 중 13개 증가
< 품목별 물량 증감률(%), (1.1~10.25일 기준) >
반도체 |
석유화학 |
자동차 |
차부품 |
선 박 |
가 전 |
바이오헬스 |
+5.2 |
+2.2 |
+7.2 |
+1.5 |
+22.0 |
+1.1 |
+0.6 |
이차전지 |
화장품 |
농수산식품 |
플라스틱제품 |
로 봇 |
정밀화학원료 |
총 계 |
+6.8 |
+4.0 |
+6.7 |
+1.1 |
+6.9 |
+1.0 |
+0.5 |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10월 일평균 수출은 20.3억달러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20억달러를 유지*하고 있으며, 7월부터 상승 추세
* 일평균 20억달러 수출 기록은 무역 1조불 달성을 위한 바로미터로 작용
< ’19년 월별 일평균 수출액> (단위:억달러) |
구 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e |
일평균 |
19.2 |
20.8 |
20.9 |
20.3 |
19.9 |
20.5 |
18.4 |
18.8 |
21.8 |
20.3 |
조업일 |
24.0 |
19.0 |
22.5 |
24.0 |
23.0 |
21.5 |
25.0 |
23.5 |
20.5 |
23.0 |
10월 무역수지도 53.9억달러로 올해 2번째 기록으로, ’10.2월 플러스 전환 이후 93개월 연속 흑자 기조 유지
< 일평균 수출 추이(억달러) > |
< 무역수지 추이(억달러) > |
|
|
선박(25.7%)・컴퓨터(7.7%) 등 주력품목과 바이오헬스(7.8%)・화장품(9.2%)・농수산식품(3.0%) 등 新수출성장품목 호조세 유지
* 컴퓨터 수출은 11개월만에 증가로 전환
ㅇ 선박 수출은 우리 주력선종인 LNG・VLCC 인도 증가로 3개월 연속 호조세, 컴퓨터 수출은 11개월만에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ㅇ 新수출성장품목의 경우, 화장품・농수산식품은 4개월 연속, 바이오헬스・플라스틱제품은 2개월 연속 증가
< 선박 수출(억달러, %) > |
|
< 컴퓨터 수출(억달러, %) > |
|
< 화장품 수출(억달러, %) > |
|
|
|
|
|
< 농수산식품 수출(억달러, %) > |
|
< 바이오헬스 수출(억달러, %) > |
|
< 플라스틱 수출(억달러, %) > |
|
|
|
|
|
미중 분쟁 심화로 對中(△16.9%)・對美(△8.4%) 수출 감소하였으나,1∼10월 누적으로는 對美 수출이 견고한 성장세(2.2%)를 유지하고 있으며, 베트남(0.6%)・CIS(24.1%) 등 신흥 시장도 수출 증가
* 中의 ’19.2Q 경제성장률은 6.0%로, 분기 기준으로는 ’92.1Q 이후 27년만 최저치
-
OPEN 공공누리 제 1유형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및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