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박영선 장관, 미용인 현장 목소리 청취

□ 대한미용사회 서울지역 단체장들과 현장에서 느끼는 현장애로 및 건의사항 청취

□ 미용기술의 세계화, 미용산업 육성 등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제도마련 및 정부지원 확대 약속

2019.11.18 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18일 대한미용사회중앙회에서 최영희 대한미용사회중앙회장을 비롯해 서울지역 미용지회장 등 30여명과 함께 ‘미용업계 애로청취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는 이번 정부 들어 이루어진 미용분야 규제개선 성과를 공유하고, 미용인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는 한편,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방안을 함께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박 장관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지난 10년간 연평균 3.9% 성장(‘08년 4조 5,000억원→ ’17년 6조 6,000억원)을 견인한 20만 미용인들을 격려했다.
 
박 장관은 “중기부는 작년 5월말 미용업을 포함한 서비스 업종에 대해 벤처기업 인증을 허용하고, 정책자금 및 컨설팅·교육 등 소상공인 지원을 확대해 왔다”고 강조하고,
 
“내년부터는 스마트미러 등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을 통한 온라인, 스마트화로 미용산업이 한류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영희 회장은 “미용서비스 산업은 여성인력이 80%에 이를 정도로 여성들에게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희망과 평생 직업이라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의 이목이 한국미용에 모아지고 있는데 반해 미용업은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라 규제위주로 관리되고 있는 실정으로 미용산업의 발전을 위한 독립된 ‘뷰티산업진흥법’ 제정이 필요하다”며중기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또한,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서울지역 미용지회장들은 미용산업의 활력을 위해 미용기기 규정마련, 미용창업자금 등 정부자금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에 대해 박 장관은 “법과 제도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 발전을 저해하거나, 업계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규제의 혁신은 필요 하다”고 공감하면서,
 
“혼자 규제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서로 `상생과 공존`의 가치 아래 협업을 해야만 성과는 물론,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며 대한미용사회중앙회가 미용단체 및 미용인 간 연결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정부의 자금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미용사회의 건의사항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공존·공감·공유 공간으로서의 비무장지대’ 논의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