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보 개방 수준에 따라 녹조발생 차이 뚜렷하게 나타나

2019.11.20 환경부
목록
▷ 보 개방 폭이 컸던 금강, 영산강은 올해 녹조 발생이 예년 대비 각각 95%, 97% 감소하여 보 건설 이후 최저치 기록
▷ 반면, 보 개방이 제한된 낙동강은 녹조 발생이 32% 증가하는 등 녹조 저감 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보 개방 확대 필요성 제기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지난 7년간의  4대강 보가 건설된 구간의 하절기(6~9월) 녹조 발생 상황을 분석한 결과, 보 개방 폭이 컸던 금강·영산강에서 녹조 발생이 크게 감소한 반면, 보 개방이 제한된 낙동강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수질 관리를 위해 보 상류 500m(보 대표지점)에서 주기적으로 녹조(남조류) 측정 중


올해 하절기 보 개방 폭이 컸던 금강과 영산강에서는 평균 녹조 발생(유해남조류수)이 예년(보 개방 이전, 2013~2017년) 평균과 비교할 때 금강은 약 95%, 영산강은 약 97% 감소하여 보가 건설된 2013년 이후 7년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보 개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낙동강의 경우 8개 보 평균 녹조 발생이 예년 평균 대비 약 32% 증가하였으며, 이는 보 건설 이후 2015년, 2018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


【 4대강(한강 제외) 보 6∼9월 평균 녹조 발생(유해남조류수)】  (단위: 세포수/mL)  수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3∼'17년  (①)  '18년(②)  '19년(③)  증감율  (②/①)  증감율  (③/①)  낙동강  5,929  12,554  34,146  12,725  15,698  16,210  29,261  81%↑  21,329  32%↑  금강  2,113  4,157  8,452  6,035  3,243  4,800  10,599  121%↑  263  95%↓  영산강  698  503  3,448  5,488  13,328  4,693  13,189  181%↑  162  97%↓  ※ : 보 건설 이래 7년 중 최저치
 
올해는 녹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보 개방의 영향을 받는 체류시간(유속) 외 기온, 일조시간, 유량 등의 수문·기상학적 조건이 대체로 평이한 수준*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보 개방에 따른 녹조 발생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에 적합했다. 
* 보 건설 이후 7년 중 중간 수준(녹조 발생에 유리한 정도가 3∼5위로 보통)에 해당(단, 금강 유량은 녹조 발생에 2번째로 유리)


통상 녹조(유해남조류)는 수온, 일조시간, 체류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량, 유속이 감소할수록 쉽게 증식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는 보 개방·관측(모니터링) 결과에서도 실증적으로 확인된 바 있다.


【 2019년 4대강 보 녹조발생 여건 비교(6∼9월, 한강 제외) 】  구 분  낙동강  금강  영산강  보 개방 외 수문·기상학적 요인  평균 기온(℃)  24.0  24.1  24.3  7일누적  일조시간(시간)  42.9  44.2  41.4  7일평균 유량*  (m3/sec)  146.0  71.4  37.1  +  보 개방  영향 요인  7일평균 유속*(cm/sec)  5.4  18.5  7.9  7일평균  체류시간*(일)  6.0  0.9  5.3  녹조 발생   (유해남조류 세포수/mL)  21,329 (32%↑)  263 (95%↓)  162 (97%↓)  ※ (보 건설 이후 7년 중 녹조발생 여건(단, * 항목의 순위는 중간값 기준))   : 매우 유리(1위),   : 유리(2위),   : 평이(3∼5위),   : 불리(6위),   : 매우 불리(7위)  ※ (녹조발생)   : 예년 대비 개선(6∼7위),   : 예년 수준(3∼5위),   : 예년 대비 악화(1∼2위)
 
올해 보 개방 여부와 관련이 적은 수문·기상학적 조건이 평이한 상황에서 보 개방 폭이 컸던* 금강, 영산강 보에서는 물 흐름이 개선**되면서 예년 대비 녹조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 (금강) <세종·공주보> 완전개방 유지, <백제보> 7.2일부터 수위저하, 8.12부터 완전개방 (영산강) <승촌보> 42% 수준 부분개방(E.L. 5.5m), <죽산보> 40% 수준 부분개방(E.L. 1.5m)
** (7일 평균 유속) 금강 12.0→18.5cm/sec(↑), 영산강 4.1→7.9cm/sec(↑) 
(7일 평균 체류시간) 금강 1.9→0.9일(↓), 영산강 6.1→5.3일(↓) 


반면, 낙동강에서는 기온, 일조시간, 유량 등도 평이하였고, 금강· 영산강과 달리 제한적 보 개방*으로 인해 물 흐름도 평이한 수준으로 유지**되어 녹조 저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 (미개방) 상주·낙단·구미·칠곡보, 
(부분개방) 강정고령(완전개방 대비 13% 개방)·달성(7%)·합천창녕(16%)·창녕함안보(5%) 
** (7일 평균 유속) 5.5→5.4cm/sec(↓), (7일 평균 체류시간) 7.5→6.0일(↓)


반면, 2018년에는 높은 기온과 긴 일조시간, 짧은 장마로 인한 유량 감소 등으로 형성된 녹조 발생에 유리한 조건이 보 개방에 따른 물 흐름 개선의 효과를 상쇄하고 남을 정도로 작용하여 보 개방에 따른 녹조 영향을 판단하기 어려운 여건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2018년 4대강 보 녹조발생 여건 비교(6∼9월, 한강 제외) 】  구 분  낙동강  금강  영산강  보 개방 외 수문·기상학적 요인  평균 기온(℃)  24.8  25.0  25.5  7일누적  일조시간(시간)  44.1  52.5  50.9  7일평균 유량*  (m3/sec)  117.4  71.2  29.7  +  보 개방  영향 요인  7일평균 유속*(cm/sec)  4.9  17.6  10.8  7일평균  체류시간*(일)  6.9  1.3  4.3  녹조 발생  (유해남조류 세포수/mL)  29,261 (81%↑)  10,599 (121%↑)  13,189 (181%↑)  ※ (보 건설 이후 7년 중 녹조발생 여건(단, * 항목의 순위는 중간값 기준))   : 매우 유리(1위),   : 유리(2위),   : 평이(3∼5위),   : 불리(6위),   : 매우 불리(7위)  ※ (녹조발생)   : 예년 대비 개선(6∼7위),   : 예년 수준(3∼5위),   : 예년 대비 악화(1∼2위)
 
2018년 하절기(6~9월)에는 예년 대비 평균기온이 0.7∼0.9℃ 증가*, 7일 누적 일조시간이 2.8~9.3시간 증가, 강수일수는 11.3∼13.8일 감소하는 등 수문·기상학적 조건이 녹조 발생에 매우 유리하게 나타나 합천창녕보에서 유해남조류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보에서 녹조가 예년 대비 크게 증가한 바 있다.
* 2018년 8월 전국 평균기온은 27.3℃로 1973년 기상 관측 이래 최고치 경신(1981∼2010년 30년 평균기온 25.1℃) 
** 2018년 8월 22일 합천창녕보 유해남조류수 1,264,052세포수/mL


다만, 2018년의 경우에도 금강, 영산강 수계 내에서 보별 개방 수준에 따라 녹조 발생 양상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영산강 수계 중 완전 개방이 이루어진 승촌보는 유해남조류수가 예년 대비 87% 감소*하였으며, 금강 수계에서 완전 개방 상태가 유지되었던 세종보도 상류 또는 지류로부터의 녹조 유입에 비해 보 구간에서 녹조 증가는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 (승촌보 6∼9월 평균 유해남조류수) 1,727→221세포수/mL(↓)


【 2018년 금강 세종보 구간 6~9월 평균 유해남조류수 분석 결과 】  (단위: 세포수/mL)  구 분  세종보 유입  세종보  (상류) 대청조정지댐 하류  (지류) 갑천  (지류) 미호천  <유량 약 55%>  <유량 약 22%>  <유량 약 23%>  2018년  198  113  9,416  2,273  2019년  48  38  1,303  19  ※ 금강 상류·갑천·미호천 유량 비율 고려시 세종보 유입 유해남조류세포수 : (2018년) 2,299세포수/mL, (2019년) 334세포수/mL
 
홍정기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4대강 보 개방이 녹조 저감에 효과가 크다는 것이 과학적·객관적으로 확인되어 4대강 자연성 회복 추진과 관련된 논란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아직 충분한 보 개방이 이루어지지 못한 낙동강도 양수장 개선 등을 통해서 보 개방을 확대하여 녹조 발생 감소 등 4대강 자연성 회복의 효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보 대표지점 녹조 발생 현황(6~9월).
        2. 수계별 보 구간 녹조발생 요인 비교(6~9월). 
        3. 질의응답.  끝.

“이 자료는 환경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열렸다 북극의 문, 찾았다 남극의 비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