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018년 기준 나노융합산업 매출액 151.2조원

2018년 기준 나노융합산업 매출액 151.2조원

2019.11.28 산업통상자원부
목록
2018년 기준 나노융합산업 매출액 151.2조원
- 기업 수 8.1%, 매출액 4.1%, 고용 1.2% 전년대비 증가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는 ‘12년부터 매년 전국의 나노융합업을 대상으로 현황과 실태를 조사해 오고 있는 바, 「2019 나노융합산업조사」결과(775개사)를 발표했다.
 
<2019 나노융합산업조사 개요>
▶ 조사근거 : 통계법 제18조에 의한 조사통계(통계청 승인 제 115031호)
▶ 조사대상 : 나노융합관련제품 생산업체 중 매출이 발생한 제조업체(775개 社)
▶ 조사항목 : 사업체 일반현황, 고용현황, 생산 및 거래구조, 투자현황, 연구개발현황
▶ 조사대상기간 : ’18.1.1 ~ ’18.12.31(1년) * (조사기간) ’19.4월 ~ ’19.10월(7개월)
▶ 수행기관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산업 추이) ‘18년 국내 나노융합기업 수는 775개, 매출액은 151조 2,204억 원, 고용인원은 15만 2,807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8.1%, 4.1%, 1.2% 증가했다.
(기업 현황) ’18년 나노융합기업 수(775개사) 전년대비 8.1% 증가하였다.
 
나노바이오․의료(22.7%), 나노전자(9.4%) 순으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분야별 기업 현황(‘14~18년) >
(단위 : 개 , 전년대비 증가율 %)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나노소재
263(12.4)
267(1.5)
309(15.7)
333(7.8)
348(4.5)
나노전자
108(31.7)
110(1.8)
120(9.1)
127(5.8)
139(9.4)
나노바이오ㆍ의료
53(△14.5)
56(5.7)
62(10.7)
66(6.5)
81(22.7)
나노장비ㆍ기기
166(1.8)
176(6.0)
182(3.4)
191(4.9)
207(8.4)
합 계
590(9.0)
609(3.2)
673(10.5)
717(6.5)
775(8.1)
 
ㅇ 기업 총매출에서 나노융합제품의 매출 비중이 75%이상인 나노융합전업기업* 비중은 ‘14년 이후 40%를 밑돌다 ’18년 처음으로 40%를 돌파했다.
 
* OECD 산하기구 나노기술작업반(WPN) 정의
 
< 분야별 전업기업 비중(‘14~18년) >
(단위 : 비중 %)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나노소재
33.1
35.2
36.6
36.3
38.5
나노전자
48.1
48.2
48.3
44.9
46.8
나노바이오ㆍ의료
35.8
32.1
38.7
30.3
33.3
나노장비ㆍ기기
34.3
33.5
38.5
40.3
44.0
합 계
36.4
36.8
39.4
38.4
40.9
 
(매출) ‘18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약 151조원)은 전년대비 4.1% 증가하였다.
 
나노바이오․의료(26.5%), 나노장비․기기(20.7%) 순으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분야별 매출 현황(‘14~18년) >
(단위 : 억원 , 전년대비 증가율 %)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나노소재
104,664
(△27.5)
86,414
(△17.4)
101,921
(17.9)
139,058
(36.4)
165,277
(18.9)
나노전자
1,193,383
(△1.8)
1,223,075
(2.5)
1,216,927
(△0.5)
1,277,070
(4.9)
1,303,288
(2.1)
나노바이오ㆍ의료
7,249
(75.7)
6,907
(△4.7)
9,794
(41.8)
6,836
(△30.2)
8,647
(26.5)
나노장비ㆍ기기
17,634
(△22.2)
15,778
(△10.5)
22,345
(41.6)
28,993
(29.8)
34,992
(20.7)
합 계
1,322,930
(△4.6)
1,332,174
(0.7)
1,350,987
(1.4)
1,451,957
(7.5)
1,512,204
(4.1)
 
나노융합제품 매출이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은 사업시작 후 평균 7.6년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단기 성과를 기대하기 보다는 중․장기 투자 및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18년 나노융합산업 고용인원(152,807명) 전년대비 1.2% 증가하였다.
 
나노장비․기기(20.2%), 나노바이오․의료(14.2%), 나노소재(8.9%)는 전년대비 증가한 반면, 나노전자는 전년대비 소폭 감소(△1.3%)했다.
 
< 나노융합산업 고용현황(‘14~18년) >
(단위 : 명, 전년대비 증가율 %)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나노소재
12,106
(△18.5)
17,439
(44.1)
19,487
(11.7)
18,824
(△3.4)
20,493
(8.9)
나노전자
125,128
(△1.7)
125,125
(△0.002)
122,222
(△2.3)
122,905
(0.6)
121,314
(△1.3)
나노바이오ㆍ의료
2,780
(44.1)
2,364
(△15.0)
2,673
(13.1)
3,232
(20.9)
3,692
(14.2)
나노장비ㆍ기기
6,048
(△0.3)
4,601
(△23.9)
6,078
(32.1)
6,079
(0.0)
7,308
(20.2)
합 계
146,062
(△2.7)
149,529
(2.4)
150,460
(0.6)
151,040
(0.4)
152,807
(1.2)
나노융합산업의 석․박사 인력 비중은 44.3%로서, 산업 전체평균(7.7%)에 비해 고급인력 고용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나노융합 산업인력 분포 : 박사 10.1%, 석사 34.2%, 학사이하 55.7%
 
* 산업전체 기술인력 분포 : 석사이상 7.7%, 학사이하 92.3%
(2018년도 산업 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 나노융합산업의 연구개발(R&D) 투자는 ‘18년 10조 9,892억원으로 전년대비 소폭 증가하였고, 국가(정부 및 민간) 전체 R&D 투자액(78조 7,892억원*)13.9%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OECD·EU·英·日과 4차 산업혁명 시대 제품안전정책 모색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