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19년 항공여객 1억 2,337만 명, 전년 대비 5% 증가

(여객) 국제선 5.2%↑, 국내선 4.4%↑, (화물) 전체 3.8%↓

2020.01.29 국토교통부
목록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19년 항공여객이 지난해 대비 5% 증가한 1억 2,337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연 단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국제선과 국내선 여객은 전년 대비 각각 5.2%, 4.4% 증가했고, 항공화물은 전년 대비 3.8% 감소했다.
* 항공여객(만 명) : 8,941(’15) → 10,391(’16) → 10,936(’17) → 11,753(’18) → 12,337(’19)
** 항공화물(만 톤) : 381(’15) → 407(’16) → 432(’17) → 444(’18) → 427(’19)

(국제선 여객) 일본 및 홍콩노선의 여객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국· 아시아 등 노선 다변화 및 내·외국인 여행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5.2% 증가한 9,039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6,143(’15) → 7,300(’16) → 7,696(’17) → 8,593(’18) → 9,039(’19)

지역별로는 일본(△11.6%)을 제외한 중국(14.4%), 아시아(11.6%), 유럽(9.4%) 노선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일본노선은 수출규제 조치(‘19.7월) 영향으로 ‘19년 여객이 8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하여 전년 대비 11.6% 감소했다.
* 월별 증감률(%): 3.5(’19.1.) → 4(’19.2.) → 4.8(’19.3.) → 0.6(’19.4.) → 3.4(’19.5.) → 7.8(’19.6.) → 3.5(’19.7.) → △20.3(’19.8.) → △28.3(’19.9.) → △40.4(’19.10.) → △40.6(’19.11. ) → △39(’19.12.)

중국노선은 1,843만 명을 기록해 사드(’17.3월) 이전인 ’16년(1,986만 명)에 비해 낮은 수준(-7.2%)이나 전년 대비해서는 14.4%가 증가했고, ’19.11∼12월 실적이 ’16년 대비 약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노선(만명) : 1,986(’16년) → 1,394(’17년) → 1,611(’18년) → 1,843(’19년)
** (’16년 vs ’19년) 여객운송 월별 실적 비교

홍콩노선은 홍콩 시위 여파로 여객이 10.4% 감소했고, 8월 이후 하락세가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 월별 증감률(%): 0.7(’19.1) → 6.8(’19.2) → 1.3(’19.3) → △0.02(’19.4) → △2.6(’19.5) → △4.1(’19.6) → △6.8(’19.7) → △15.4(’19.8) → △28.2(’19.9)→ △19.5(’19.10) → △29.3(’19.11) → △24.7(’19.12)

공항별로는 중국 및 아시아 노선의 여객 증가에 따라 인천(4.3%)·제주(40.7%)·무안(110.2%)·청주(55.9%) 공항 등이 성장세를 나타냈고, 일본노선 여객감소 영향으로 김해(-2.7%)·김포(-0.4%)·양양(-14%) 공항은 하락세를 보였다.
* 공항별 점유율: 인천(78%), 김해(11%), 김포(5%), 제주·대구(3%), 무안·청주·양양·울산(1% 미만)

항공사별로는 우리 대형항공사*(FSC)의 경우 전년 대비 0.2% 증가했고, 저비용항공사**(LCC)는 전년 대비 6.3% 증가했다.
* 일본(△12%)·대양주(△1%) 노선 여객↓, 중국(5.4%)·유럽(4.5%)·아시아(3.8%) 노선 여객↑
** 중국(34.8%)·아시아(25.5%)·유럽(52.3%)·대양주(2.4%) 노선 여객 ↑
*** 우리항공사 점유율(%) : 64.2('15) → 64.7('16) → 68.3('17) → 68.5(’18) → 66.9(’19)저비용항공사 점유율(%) : 14.6('15) → 19.6('16) → 26.4('17) → 29.2(’18) → 29.5(’19)

(국내선 여객) 내·외국인 제주여행 수요 상승(공급석 ↑) 등 제주 및 내륙노선 여객 증가로 국내선 여객은 전년 대비 4.4%(내륙 6.2%↑, 제주 4.1%↑) 증가한 3,298만 명을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 2,798(’15) → 3,091(’16) → 3,241(’17) → 3,160(’18) → 3,298(’19)

공항별로는 제주노선의 여객이 증가된 청주(17.7%), 여수(8.3%)공항의 실적증가가 두드러졌고, 국내선 주요 공항인 김포(4.3%), 제주(4.1%)공항도 전년 대비 실적이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우리 대형항공사(FSC)의 국내여객 운송량은 1,391만 명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고, 저비용항공사(LCC)의 경우 1,907만 명으로 3% 증가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54.7('15) → 56.8('16) → 56.9('17) → 58.6(’18) → 57.8(’19)

(항공화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교역량 감소 영향으로 IT 제품(반도체무선통신기기디스플레이 등) 등 국제화물은 3.7% 감소하는 등 전체적으로 3.8% 감소(427만 톤)을 기록했다.
* 항공화물(만톤) : 381(’15) → 407(’16) → 432(’17) → 444(’18) → 427(’19)
** 수하물 제외 항공화물(만 톤): 279(’15) → 293(’16) → 312(’17) → 314(’18) → 292(’19)

아시아(1.1%)를 제외한 중국(-1%), 일본(-17.3%), 미주(-5.5%) 등 전 지역의 국제화물이 감소세를 나타내며 전년 대비 3.7%(402만 톤) 감소했다.
* 국제화물(만톤) : 352(’15년) → 378(’16년) → 403(’17년) → 417(’18년) → 402(’19년)
** 수하물 제외 국제화물(만 톤): 265(’15년) → 279(’16년) → 299(’17년) → 302(’18년) → 282(’19년)

국내화물은 내륙 노선(-0.9%)과 제주(-5.8%) 노선 모두 감소해 전년 대비 5.3% 하락한 26만 톤을 기록했다.
* 국내화물(만톤): 28.8(’15년) → 29.3(’16년) → 29(’17년) → 27.3(’18년) → 26(’19년)
** 수하물 제외 국내화물(만 톤): 14.2(’15년) → 13.9(’16년) → 13.2(’17년) → 12.1(’18년) → 10.1(’19년)

국토교통부 김이탁 항공정책관은 “일본·홍콩노선 부진에도 불구, 중국·아시아 등 항공노선 다변화, 내·외국인의 항공여행 수요 등의 영향으로 ’19년 항공여객이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고, 항공여객 1억 명 돌파시점도 전년(’18.11.1)에 비해 10일(‘19.10.22) 앞당겨졌다“고 밝혔다.

아울러, “올해에도 전략적 항공회담 등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및 새로운 시장 개척, 외국인 관광객(인바운드) 신규수요 유치 등을 통해 항공산업의 지속성장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며,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 대내외 변수가 항공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 모니터링하고 관계기관 및 업계와 긴밀히 협업하여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국토교통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부실공사·하자 없는 아파트 위한 합동 특별점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