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98개사 최종 평가로 추천

□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98개사가 2차 평가를 통과해 19일 최종 평가를 거쳐 6월 중 40개 선정 예정

□ 벤처캐피탈 평균 투자금액 47억원, 기보 기술평가 A등급 이상 41% 등 유망 벤처·스타트업이 다수

2020.06.16 중소벤처기업부
목록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와 창업진흥원(원장 김광현, 이하 창진원)은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2차 평가를 6월 12일부터 14일까지 실시해 98개사를 최종평가로 추천한다고 밝혔다.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은 벤처 4대강국 실현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K-유니콘 프로젝트」의 핵심사업 중 하나로, 스타트업계의 높은 관심을 받아 총 254개사가 신청(공모 246, 국민추천 8)했다.

이 중, 214개사가 요건검토(창진원)와 1차 현장 기술평가(기보)를 통과했으며, 2차 평가(6.12~14)에서는 벤처투자자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들이 심도깊은 토론식 서류평가를 통해 98개사를 최종평가로 추천해 6월 중에 40개사가 최종 선정된다.
 
업종별로는 ICT 및 Data·Network·AI 기반 플랫폼 분야 스타트업(50%, 49개)이 다수 포함됐다. 이어 바이오헬스 분야(29.6%, 29개), 일반 제조 및 서비스 분야(20.4%, 20개) 순으로 많았다.
최종평가에 추천된 기업의 평균 투자금액은 47억원으로, 20억원에서 50억원 투자유치(60.2%, 59개)를 한 스타트업이 가장 많았으며, 5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기업도 39개에 달했다.
 
또한, 기술보증기금의 기술·사업성 평가 A등급 이상이 41%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우수한 기업이 많았으며, 코로나19 국면에서 각광받고 있는 비대면 벤처·스타트업(64.3%, 63개)도 다수 통과했다.
 
최종평가의 전문심사단으로는 K-유니콘 서포터즈뿐 아니라 아마존, 페이스북, 알리바바, 삼성, 현대차 등 글로벌 기업 관계자도 참여해 기술의 혁신성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균형있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중기부 이옥형 벤처혁신정책과장은 “많은 유망 벤처·스타트업이 지원하면서 대다수 신청기업이 1차 기술평가를 통과하는 등 우열을 가려내기가 어려웠다”며, “전문심사단과 국민심사단(단장 :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이 함께 더욱 엄정한 심사를 진행해 대한민국의 미래 유니콘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정책과 성홍석 사무관(☎ 042-481-1639), 창업진흥원 투자협력부
최유진 과장 (☎ 02-3440-730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2차평가 결과 및 3차평가 계획
 
□ 아기유니콘 200 육성사업 평가절차
 
ㅇ ‘국내·외 최고 전문가’와 ’국민’이 공동으로 아기유니콘 기업 선정(’20.6)
 
< 아기 유니콘 기업 평가·선정 절차 >
구분 평가주체 평가대상 내용 일정 장소
           
1차 평가 기술보증기금 요건검토
통과기업
(219개사)
·기술·사업성 평가
- 사업계획서 검토 + 현장 방문
5.19.(화) ~ 6.4.(목) 요건검토
통과기업 사업장
           
2차
평가
전문평가단,
(24명)
기술사업성
평가 통과기업
(214개사)
·심층 토론식 평가
- 분야별 최고 전문가 토론평가
6.12,(금) ~ 6.14.(일) 인터
컨티넨탈
(서울, 삼성)
           
3차
평가
전문평가단(50명)
국민심사단(200명)
최종후보군
(98개사)
·최종 발표 평가
- 전문심사단+국민심사단 공동평가
6.19(금) 코엑스
컨퍼런스룸
(서울, 삼성)
 
□ 2차 평가 결과 : 총 98개사 3차평가 대상 추천
 
 
 
<투자규모별 선정현황>
구분 합계 20~50억원 50~75억원 75~100억원
기업수(개) 98 59 27 12
비율(%) 100% 60.2% 27.6% 12.2%
]
 
< 기술사업성 평가별 선정현황 >
구분 합계 AA등급 A등급 BBB등급 BB등급
기업수(개) 98 4 36 43 15
비율(%) 100% 4.1% 36.7% 43.9% 15.3%
 
<비대면 기업 선정현황>
구분 합계 대면 비대면  
스마트
헬스
교육 스마트
BIZ&금융
생활
소비
엔터테인
먼트
물류
유통
기반
기술
기업수(개) 98 35 63 8 3 7 23 11 4 7
비율(%) 100 35.7% 64.3% 8.2% 3.1% 7.1% 23.5% 11.2% 4.1% 7.1%
※ 스마트 헬스케어(웨어러블 의료기기, 원격의료 등), 교육(온라인 교육시스템·컨텐츠 등), 스마트비즈니스&금융(원격근무, 전자결제 등), 생활소비(온라인 소비재 제조판매, 배달앱 등), 엔터테인먼트(게임, SNS 등), 물류유통(물류관리 플랫폼, 드론 등), 기반기술(빅데이터, AI, 클라우드, 5G 등)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생활방역이 대체 뭔가요?” 한국의 생활방역, 온라인으로 전 세계에 알려드려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