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정보화통계 조사대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개편

2020.07.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목록
 
정보화통계 조사대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개편
- 종사자 수 1인 이상 사업체에서 10인 이상 기업체로 변경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1999년부터 매년 조사해온 정보화통계의 조사대상을 2020년부터는1인 이상 사업체 단위에서 10인 이상 기업체 단위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o 정보화통계는 우리나라 전국 사업체의 정보화 이용 수준을 조사하는 국가승인통계로서 2005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 유엔 등 국제기구에 제공되는 우리나라 공식통계이나,
o 그간 정보화통계의 조사대상이 OECD 기준과 달라 국제기구가 국가 간 정보화수준을 비교·분석하여 발간하는 각종 보고서에 우리나라의 정보화 위상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 이에 OECD 국가 간 정보화수준 비교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업 단위의 정확한 정보화 수준을 파악하여 정책혁신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o 조사대상을 OECD 권고에 맞춰 종사자 10인 이상 개인사업체 및 회사법인으로 변경하여 OECD 기준에 부합하는 통계를 생산하고자 한다.
 
□ 또한, 지능정보화사회로의 전환 등 변화된 정보통신기술(ICT) 환경에 맞춰 통계의 시의성과 정책 활용도 제고를 위해 조사지표의 개편도 추진한다.
 
o 기존 58개 조사지표 중 시의성이 떨어져 정책 활용도가 저조한 지표 20개를 삭제하여 응답자의 부담을 대폭 줄이고,
o 정책적 활용도가 높은 신기술 관련 지표 3개(인공지능 활용 분야, 빅데이터 분석 시 활용 데이터의 유형, 5G의 산업적 활용에 대한 인지 여부)를 추가한다.
o 업종 구분은 기존 13개 업종에서 16개 업종으로 세분화하여 업종별로 구체적인 통계 값을 파악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o 특히,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등 비대면 업무의 확산에 따라 원격근무 시 활용하는 기능을 세분화하였고, 코로나19 전후의 원격근무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이번 개편을 통해 정보화통계가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인 우리나라의 위상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국제지표와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o 개편된 2020년 정보화통계조사는 7월말부터 10월초까지 약 22만개 기업체 중 표본으로 선정된 12,500개 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12월말에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자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과기정통부, 제2차 혁신도전 프로젝트 추진위원회 개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