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해양문화유산 디지털 자료보관소(아카이브) 종합계획 수립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해양문화유산 자료의 기록·보존·활용 위한 정보체계 마련 -

2020.12.21 문화재청
목록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연수)는 해양문화유산 조사·연구에서 수집 생산된 자료의 기록·보존·활용을 위한 ‘해양문화유산 디지털 자료보관소(아카이브) 정보체계 종합계획(ISMP)’을 수립하였다.
  * 정보체계 종합계획(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특정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 대한 상세분석과 제안요청서(REP)를 마련하기 위해 업무와 정보기술에 대한 현황과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기능적, 기술적 요건을 기술하며 구축전략과 이행계획을 짜는 것
  * 아카이브(Archive): 소장품이나 자료 등을 디지털화하여 한데 모아서 관리할 뿐만 아니라 그것들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모아둔 파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1981년 목포 보존처리장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40년간 해양문화유산 조사연구정보를 축적해 왔다. 해양문화유산 조사연구정보는 수중발굴조사, 보존처리, 연구 활동, 전시 업무 등에서 생산된 모든 자료를 의미한다. 지금까지 수집된 연구자료는 수중발굴조사 등 자료(아날로그, 디지털) 총 85만 건에 달한다.

  생산자료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기술 기반시설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연구 자료의 검색과 활용에 어려움을 겪어 온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 비대면과 디지털 강화 등 코로나19 이후의 시대를 대비하고자 정보체계 종합계획(ISMP)을 수립하였다.

  주요 내용은 해양문화유산 디지털 자료보관소의 ▲ 정보체계 방향성 수립, ▲ 업무와 정보기술 요건분석, ▲ 정보체계 구조·요건 정의, ▲ 정보체계 구축 이행방안 수립, ▲ 필요예산과 인력구성안 등이며, 2021년부터 연도별로 단계를 나누어 구축할 계획이다. 첫해인 2021년 종합계획(ISMP) 수립을 시작으로 2022년에는 데이터베이스(DB) 구축과 설계, 2023년 기반시설 도입, 2024년 아카이빙 전용 기반시설과 고도화를 완료하고 2025년 해양문화유산 디지털 자료보관소를 국민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를 위해 인력확보와 전문기록관을 설치할 계획이며, 추후에는 도서관과 기록관, 박물관의 통합 기록관인 ‘라키비움’을 도입하여 해양문화유산 자료보관소를 국민에게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라키비움(Larchiveum):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s), 박물관(Museum)의 기능과 역할을 하나로 통합한 기록관 유형







목표구성도.png
<해양문화유산 디지털 자료보관소 목표구성도>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중기부, 수·위탁거래 불공정행위 596개사 적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